|
저자 | John White |
역자 | 이지헌, 김희봉 |
판형 | 신국판 |
제본 | 양장 |
페이지 | 352p |
ISBN | 978-89-997-0962-3 93370 |
발행일 | 2016-06-20 |
정가 |
15,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이 역서는 런던 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철학 명예교수인 존 화이트(John White)의 『The Invention of the Secondary Curriculum』(2011)을 옮긴 것이다. 이 책은 오늘날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교과 중심의 중등학교 교육과정이 언제부터 태동하였고 또 어떤 과정을 거쳐서 오늘날까지 발전했는지를 역사적으로 설명하고, 그런 교육과정이 21세기에도 여전히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 철학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이 책이 영국교육학회의 2011년도 베스트 북으로 선정되어 우수상을 받았다는 점은 이것이 영국 교육학계에서 널리 인정을 받을 정도로 학문적 성과가 높은 저서임을 말해 준다. 우리가 보아도 이 책은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해 역사적·철학적 접근을 동시에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쉽게 찾아보기 힘든 아주 독특한 책이다. 이 점을 감안하여 우리는 이 역서의 제목을 『중등 교육과정, 그 역사와 철학』이라고 바꿨다.
화이트의 이 책은 교육과정, 교육사, 교육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저서다. 그는 지난 50년 동안 현실 사회의 교육문제를 가지고 철학적으로 고심하는 모습을 보여 준 대표적인 교육철학자다. ‘한국 교육현실을 혁신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학의 여러 전공 영역이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하는 데 이 역서가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희망한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역자 서문
총서 편집자 서문
한국어판 서문
제1장 서 론
제2장: 1550∼1630년
제3장: 1630∼1700년
제4장: 18세기
제5장: 19세기
제6장: 1900∼1988년
제7장: 21세기
제8장: 전통적 교육과정을 넘어
제2장 1550∼1630년
라무스
케커만
알스테드
코메니우스
왜 라무스주의와 포스트라무스주의 교수법에 사로잡혔는가
결 론
제3장 1630∼1700년
잉글랜드의 포스트라무스주의와 하트립 서클
비국교도 아카데미의 기원
교육과정과 교수법
각 아카데미의 세부사항
강 사
결 론
제4장 18세기
포스트라무스주의의 유산
왜 백과전서적 교육과정을? 18세기의 관점들
비국교도 아카데미에 대한 의문
제5장 19세기
런던 대학교와 학교 개혁
시 험
변화하는 동기
가설의 검증
용어에 관하여
결 론
제6장 1900∼1988년
1904년 중등교육 규정
1904년부터 국가교육과정까지
왜 새로운 ‘문법학교’ 교육과정인가
제7장 21세기 당연시하는 것
1988년부터 1999년까지
1999년의 교육목적
2007년의 교육목적
2010년의 교육과정
결 론
제8장 전통적 교육과정을 넘어
누가 교육과정을 결정해야 하는가
목적의 원천: 일원적인가, 이원적인가
어떤 목적인가
잘삶이라는 목적
몇 가지 또 다른 쟁점
결 론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