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박신, 김계희 |
판형 | 신국판 |
제본 | 양장 |
페이지 | 352p |
ISBN | 978-89-997-0655-4 93180 |
발행일 | 2015-05-20 |
정가 |
17,000원
|
E-BOOK 정가 | 17,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연구총서 제3권은 임상적인 주제를 택하여 부성 콤플렉스에 관한 논문 두 편으로 꾸미게 되었다. 저자 중 한 분은 아들의 부성 콤플렉스를, 다른 한 분은 딸의 부성 콤플렉스를 다루고 있다. 융C. G. Jung은 부성 콤플렉스에 대해서 모성 콤플렉스만큼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그 중요성을 결코 가볍게 보지 않았다. 그만큼 고찰해야 할 것이 많은 분야다. 저자들이 본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융의 관점의 특징은 개인적인 아버지나 어머니와의 관계를 살피는 데 머물지 않고 무의식의 아버지이마고, 아버지 원형상과 의식의 자아와의 관계를 중요시한다는 점에 있다.
꿈의 해석에 관해서는 물론 같은 융학파 분석가라 하더라도 분석가의 유형에 따라 약간 다를 수도 있지만 무의식의 자기Selbst 원형, 즉 객체 정신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는 피분석자의 꿈 그 자체가 잘 보여 주고 있다.
현실의 아버지, ‘아버지’이마고, ‘아버지’ 콤플렉스에 관한 융의 분석심리학적 개념에 대해서는 두 저자가 각기 자신의 논문의 들어가는 말 부분과 본문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따로 장을 마련하지 않았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한국융연구원 연구총서 제3권 발간에 부쳐
서문 1
서문 2
부성 콤플렉스의 분석심리학적 이해_박 신
들어가는 말
부성 원형
부성 콤플렉스
긍정적 부성 콤플렉스
부정적 부성 콤플렉스
아버지의 부재
맺는말
참고문헌
여성의 부성 콤플렉스와 치유_김계희
01 ‘아버지’와 ‘아버지-이마고(父性像)’
딸이 경험하는 아버지
딸의 ‘아버지 콤플렉스’
부성 원형: 민담을 통한 고찰
02 분석 사례를 통해 고찰한 여성의 부성 콤플렉스와 치유 과정
사례 N
사례 O
03 종합적 고찰―‘어머니’ 그리고 ‘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