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스(MOOCs)는 하버드대학교와 MIT, 스탠포드대학교 같은 명문대학교를 중심으로 무료로 강좌를 개설하고 누구라도 그 강좌를 들을 수 있도록 개방하는 대형공개강좌(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로서 글로벌 학습시대의 ‘고급 지식에 대한 문호 개방’이라는 혁신적인 교육적 이상을 실현하는 교육공학적 방법으로 인식된다.
우리는 과연 묵스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여야 하는가? 도대체 ‘묵(MOOC)’이라는 현상의 현황은 무엇이고 동인은 무엇이며, 또 어떻게 운영되며, 무엇이 필요한가? 이 책은 이러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그 결과 이 책은 여러 필자의 전문 영역을 중심으로 각 장을 집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묵스가 무엇이고 어떤 배경에서 출현하였으며, 어떠한 종류가 있고 어떠한 사례가 있으며, 또 묵스는 어떻게 개발되고 운영되는지, 묵스와 관련된 기술은 어떤 것이 있는지 묵스에 대해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학습자 입장에서는 내게 필요한 강좌를 개설하고 있는 묵스기관은 어디이며, 어떻게 등록을 하고 수강할 수 있는지 안내받을 수 있다. 그리고 교수자 입장에서는 소극적으로는 자신의 강의실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묵스를 활용하는 것부터 적극적으로는 자신의 강의를 묵스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대학이나 연구소 등 묵스 형태의 강좌를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기관은 참여나 불참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에서부터 참여하였을 때의 준비사항까지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머리말
제1부 묵이란 무엇인가
01 묵의 시대가 열리다 _ 나일주
1. 묵, 묵스, 온라인 코스, 개방원격교육 그리고 공개교육자료
2. 묵스가 주목받는 이유
3. 묵스의 등장과 전개
4. 이 책의 구성
▣ 참고문헌
02 묵의 종류 _ 이지현
1. 가지가지 묵: 씨묵과 엑스묵
2. 묵의 종류가 다양한 이유
3. 속속 등장하는 변종과 묵의 확장
4. 어떤 묵을 선택해야 하는가
▣ 참고문헌
03 묵스 페다고지: 비판적 분석과 미래 모형의 제안 _ 정인성
1. 씨묵의 페다고지: 연계된 지식 네트워크 페다고지
2. 엑스묵의 페다고지: 강의실 수업 확장 페다고지
3. 혼합형 묵스 페다고지: 씨묵과 엑스묵, 면대면과 온라인, 테크놀로지의 혼합
4. 미래 묵스의 페다고지
5. 결 론
▣ 참고문헌
제2부 세계의 묵스
04 미국의 대표 묵: 코세라와 에드엑스의 운영 성과와 시사점 _ 임철일
1. 코세라와 에드엑스: 미국 묵의 쌍두마차
2. 설립과 발전 및 운영 현황
3. 대학 및 강좌 운영의 특성
4.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05 다양성과 협력을 추구하는 유럽 스타일의 묵스 _ 최효선, 유미나
1. 유럽의 묵스 현황
2. 유럽 묵스의 성립과 발전
3. 유럽 묵스의 주요 사례
▣ 참고문헌
06 발달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묵스 _ 박소화
1.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묵스 현황과 특징
2. 경쟁 우위를 지향하는 호주의 묵
3. 저비용 고효율을 지향하는 일본의 묵
▣ 참고문헌
07 국내 최대 원격 교육기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묵스 _ 이태림
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묵 현황
2.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개방교육자료
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묵을 위한 콘텐츠 보유 현황
4.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묵 요구도
5. 케이묵의 향후 발전 방향
▣ 참고문헌
08 한국의 사례: 서울대학교의 묵스 운영 _ 김선영
1. 현 황
2. 서울대학교 묵스 추진 배경 및 맥락
3. 서울대학교 묵스 운영 내용
4. 서울대학교 묵스 운영 결과 및 시사점
5. 서울대학교 묵스 향후 발전 방향
▣ 참고문헌
제3부 묵스의 개발과 운영 모델
09 묵스의 운영 목적 설정과 운영 플랫폼의 선정 _ 장상현
1. 묵스 운영의 목적 설정
2. 묵스 운영을 위한 플랫폼 선정
3. 묵스 운영을 위한 고려사항
▣ 참고문헌
10 묵스의 비즈니스 모델 _ 정현재, 이선화
1. 묵스로 비즈니스가 가능한가
2. 성공적 비즈니스로서의 묵스
3. 묵스의 비즈니스 모델
4. 묵스를 운영하려는 개인이나 기관을 위한 제언
▣ 참고문헌
11 묵 만드는 기술: 묵스와 관련된 테크놀로지 _ 김종범
1. 어떤 도구로 묵을 만들어야 하나
2. 어떤 재료로 묵을 만들까
3. 우리 집 묵 드실래요
4. 묵의 장인이 되기 위하여
▣ 참고문헌
12 묵스를 통한 학습 경험과 수료 _ 성은모
1. 묵스에서의 학습 경험
2. 묵스와 수료
3. 한국 묵스 운영에의 시사점
▣ 참고문헌
13 묵스의 질, 학점 및 학위 연계 _ 최경애
1. 고등교육의 질에 대한 제 관점
2. 묵스의 고객과 그들의 질 관점
3. 묵스의 특징: 개방성과 융통성
4. 묵스의 개방성과 교육의 질
5. 역사를 통해 본 기존 원격교육의 질 관리 전략
6. 묵스의 질 관리 전략과 성과 및 한계
7. 묵스의 질 확보를 위한 미래 과제
▣ 참고문헌
14 묵스의 미래 전망 _ 나일주
1. 묵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네 가지 개념 도구
2. 학습자 입장에서의 묵 대응 전략
3. 교수자 입장에서의 묵 대응 전략
4. 운영기관(대학) 입장에서의 묵 대응 전략
5. 에필로그
6. 묵스의 미래: 묵스 현상의 관전 포인트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