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대부분 사람들이 생각을 하고 감정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렇다면 아동도 그럴까? 언제 그럴 수 있는 것일까? 이 책에서는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에 대한 아동의 이해를 다룬 방대한 양의 연구를 축약하여 읽기 쉽게 개괄하고자 한다. 이것은 '마음이론'으로 알려진 발달심리학의 주요 주제이기도 하다.
믿음에 대한 이해가 이 책의 중심 주제다. 이 책에서는 마음의 표상적 이론이 무엇인지를 쉬운 용어로 설명하고, 연구자들이 이러한 이해를 4세 아동에게서 어떻게 증명했는지를 보여 준다. 또한 가장놀이의 역할, 주의와 시선 방향의 이해, 마음에 대한 표상적 이해와 관련된 다른 전조능력들을 다루면서, 아동이 어떻게 마음을 이해하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마음이론의 타당성은 다른 마음상태 개념의 발달, 그리고 마음 표상에 대한 이해와 다른 표상적 매체에 대한 이해와의 관계에서 입증된다.
이 책은 또한 마음이론과 실행기능이 동시에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언어 이해와의 관계를 다루는 연구들도 요약하였다. 그리고 자폐증을 다루면서 마무리를 지었다. 마음이론 연구는 자폐증과 같은 알 수 없는 발달장애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01 마음이론 입문
서 론
마음상태에 대한 아동의 이해
영역의 발달
이 책의 구성
02 믿음 이해하기
서 론
틀린믿음 예측
Wellman, Cross와 Watson의 메타 분석
틀린믿음 설명
행동 조작하기
믿음에 대한 암묵적 이해
틀린믿음에 대한 영아의 이해
요 약
03 마음이론의 이론들
이론적 관점
마음상태는 무엇인가
이론이론
모사이론
단원적 마음이론
요 약
04 연합된 발달 1: 믿음을 넘어서
서 론
바 람
외양과 실제
지 식
고차순위 마음이론 과제
믿음에 근거한 정서
요 약
05 연합된 발달 2: 비정신적 표상 이해하기
서 론
사진 표상에 대한 아동의 이해
언어적 표상
애매한 그림
요약과 결론
06 전조능력 1: 가장
서 론
가장놀이 기술하기
초기의 가장은 진정한 가장인가
아동은 가장에 대해 무엇을 이해하는가
가장과 사회적 이해
아동은 그것이 단지 가장된 것이라고 이해하는가
요 약
07 전조능력 2: 시각적 주의 이해하기
서 론
시선 방향: 더 쉬운 형태의 마음상태 이해인가
인간 눈의 독특한 형태학
직접적인 시선 지각
시선 방향의 지각
시선 판단
요약과 논의
08 발달적 상호작용 1: 실행기능과 마음이론
서 론
이론들
증 거
요 약
09 발달적 상호작용 2: 언어와 마음이론
서 론
아동의 마음상태 용어 사용
마음이론 발달에 대한 언어 효과
요 약
10 자폐증
서 론
특 징
진 단
유병률: 자폐증은 확산되는가
원 인
유전적 기원
환경적 원인
마음이론 가설
실행기능 손상
약한 중앙 응집성
서번트 능력
어떻게 모두가 연결되는가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