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비판 교육정치학과 교육사회학의 관점 |
저자 | Geoff Whitty |
역자 | 김달효 |
판형 | 신국판 |
제본 | 반양장 |
페이지 | 304p |
ISBN | 978-89-6330-965-1 93370 |
발행일 | 2012-10-10 |
정가 |
13,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도 만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이 어떤 심각한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는가를 이론적으로뿐만 아니라 실증적으로도 알리는 데 목적이 있다. 신자유주의를 추종하는 사람들은 ‘학교선택’과 ‘학교자율성’이라는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우고, 그러한 교육정책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 여러 가지 실증적 근거들을 바탕으로 두고 강조하듯이, 학교선택과 학교자율성이라는 것으로 대표되는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은 평등성을 비롯한 여러 가지 민주주의적 가치를 훼손할 뿐만 아니라 사회 및 교육 양극화를 더욱 심화한다.
‘좋은 사회란 어떤 사회인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것은, 그 사회의 약자를 실제로 얼마나 배려하고 존중하며, 강자와 약자와의 차이를 좁히려고 노력하는가다. 따라서 더 나은 교육 및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평등성’ ‘협력’ ‘연대’ ‘재분배’와 같은 가치들이 더욱 강조되어야 하는 것이지, ‘차등성’ ‘경쟁’ ‘서열화’와 같은 비교육적이고 비인간적인 개념이 강조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현실은 전자의 가치보다 후자의 개념을 강조하고 있어서 안타까울 뿐이다. 따라서 이렇게 거꾸로 진행되고 있는 교육정책을 바로잡으려면 많은 사람들이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실체(진실)에 대해 알아야 하고, 바로잡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의사 표현을 할 기회가 있을 때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이 책이 그러한 역할을 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Chapter 1 사회학과 교육정책
Chapter 2 학교지식과 사회성 교육
Chapter 3 영국, 미국, 뉴질랜드에서의 권한 이양과 학교선택
Chapter 4 새 시대의 교사 전문가의식 개혁
Chapter 5 현대 교육정책의 소비자권리 대 시민권리
Chapter 6 유사시장의 명시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Chapter 7 학교개선과 사회적 포용: 한계와 가능성
Chapter 8 신노동당의 교육정책과 교육연구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