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지역복지 정책 및 방법 |
저자 | 히라노 타카유키 |
역자 | 김영종, 박유미 |
판형 | 크라운판 |
제본 | 양장 |
페이지 | 256p |
ISBN | 978-89-6330-893-7 93330 |
발행일 | 2012-05-10 |
정가 |
16,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번역서의 주 내용은 번역본을 위해 히라노 교수가 새롭게 쓴 서장(일본 지역복지 연구의 새로운 전개)과 함께, <1부: 지역복지 추진의 이론적 틀> 안에 제1장(정책으로서의 지역복지), 제2장(상향식 지역복지 추진), 제3장(지역복지 축적을 위한 공간구조)이 있고, <2부: 지역복지 추진의 방법> 안에 제4장(커뮤니티워크와 지역복지 추진장치), 제5장(지역복지계획과 조건정비 프로그램), 제6장(지역케어 프로그래밍과 복지의 지역력)을 담았다. 이 번역서는 일본의 지역복지를 일종의 ‘체계’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싶은 독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지역복지를 단순히 실천 방법으로만 간주하는 한계에서 벗어나, 정책과 실천을 아우르는 통합적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역자 서문
저자 인사말
번역본 서장 | 일본 지역복지 연구의 새로운 전개
제1부 | 지역복지 추진의 이론적 틀
제1장 정책으로서의 지역복지
제1절지역복지를 위한 추진 정책
제2절정책으로서의 지역복지 추진
제3절지역복지 추진 정책과 협동
제2장 상향식 지역복지 추진
제1절상향식 추진과 지역복지 프로그래밍
제2절개별 실천의 프로그래밍: 주체에 의한 선택
제3절프로그래밍 장으로서의 계획공간
제3장 지역복지 축적을 위한 공간구조
제1절지역복지의 용기
제2절지역케어의 추진과 용기 형성
제3절지역복지 추진의 메조 연구
제2부 | 지역복지 추진의 방법
제4장 커뮤니티워크와 지역복지 추진장치
제1절지역복지 실천 구조와 커뮤니티워크
제2절커뮤니티워크 기법의 선택
제3절지역복지 추진장치
제5장 지역복지계획과 조건정비 프로그램
제1절추진 방법으로서의 지역복지계획
제2절지역복지계획 매니지먼트: 다카하마시(高浜市)의제1차 지역복지계획 사례에서
제3절계획적 추진의 매니지먼트와 조건정비 프로그램
제6장 지역케어 프로그래밍과 복지의 지역력
제1절지역케어 프로그래밍: 도도부현의 이니셔티브
제2절지역복지 추진에 필요한 복지의 지역력
제3절복지의 지역력 형성과 협동사업 추진: 시정촌의 역할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