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초등교사를 위한 정치 교육 입문(C-멘토링 총서 4)
저자설규주, 강대현
판형 크라운판
제본 반양장
페이지 246p
ISBN 978-89-6330-104-4 94370
발행일 2010-01-12
정가 13,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초등학교 정치 단원 수업의 이와 같은 현실에 대한 대응으로서 이 책에서는 정치 관련 ‘내용지식’과 ‘내용교수지식’의 강화라는 처방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정치학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과 원리를 영역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그에 대한 해설을 덧붙였다. 이 내용은 실제 초등학생들에게 그대로 가르쳐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교사 수준에서는 정치학의 전반적인 구조와 맥락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장에서는 제7차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정치 단원 내용과 현행 교과서 및 수업 관찰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초등학교 수준은 물론 중등학교의 정치 교육 내용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여 교육과정상에 나타나는 정치 관련 내용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3장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정치 단원 수업이 왜 어려운가에 대한 진단을 교사와 학생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초등교사와의 면담 자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교사의 경우 수업 내용 측면과 수업 방법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학생의 경우에는 4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정치 단원 수업에서의 어려운 점을 조사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 분석하고 진단한 초등학교 정치 단원 수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처방을 제시하였다. 즉, 초등학교 정치 단원의 대안적인 수업 방안으로, 먼저 수업 내용 측면에서는 정치 단원의 주요 개념을 추출하고 그 개념의 교수학적 변환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제1장 초등교사를 위한 정치학 입문
1. 초등교사에게 정치학이란
2. 정치, 그것이 알고 싶다
3. 정치학에는 왕도가 없다
4. 정치학의 주요 개념, 이것만은 기억하자
5. 정치학, 철학인가 과학인가
6. 초등 사회과는 꼬마 정치학자를 길러 내야 한다

제2장 초등교사를 위한 정치 단원의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 분석
1. 왜 정치 단원의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을 분석해야 하는가
2. 7차 및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정치 단원 들여다보기
3. 초등 「사회」 4, 6학년 교과서의 정치 단원 분석하기
4. 초등 「사회」 4, 6학년 정치 단원 수업 사례 분석하기

제3장 초등학교 정치 단원 수업, 왜 어려울까
1. 교사가 바라본 정치 단원 수업: “이래서 힘들다”
2. 학생이 바라본 정치 단원 수업: “이래서 힘들어요”
3. 정치 단원 수업의 딜레마, 어떻게 풀어야 할까

제4장 초등학교 정치 단원 수업, 이렇게 해 보자
1. 정치 단원 수업 내용, 이렇게 바꿔 보자
2. 정치 단원 수업 방법, 이렇게 바꿔 보자
3. 보다 재미있고 쉽고 유익한 초등학교 정치 단원 수업을 위하여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