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 교육철학의 다양한 흐름Ⅱ |
저자 | Nigel Blake, Paul Smeyers, Richard Smith, Paul Standish |
역자 | 강선보, 고미숙, 권명옥, 김상무, 김희선, 심승환, 장지원, 정훈 |
판형 | 크라운판 |
제본 | 반양장 |
페이지 | 360p |
ISBN | 978-89-6330-136-5 94370 |
발행일 | 2009-12-30 |
정가 |
14,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이 책은 현재 교육철학 분야의 최고 학자들이 팀을 이루어 작업한 것으로, 각 분야 전문가들의 깊은 성찰이 담겨서 교육철학의 핵심적인 질문들에 대해 우리가 적절히 사고하도록 안내해 줄 것이다. 특히 교육철학의 역사와 성과를 보여 주는데, 이는 단순한 제시라기보다는 교육이 무엇이며 그것은 실제에서 어떻게 최선으로 수행될지에 대한 우리의 심오한 이해에 근거하여 심각한 철학적 연구의 높은 중요성을 드러내는 방법이다. 이것은 의심할 바 없이 하나의 획을 긋는 연구물로서 우선 현재의 주요 논쟁들을 알기 위해 필요하며, 현대사회가 직면한 많은 난해한 교육적인 딜레마들의 해답을 찾고자 하는 모두가 반드시 활용하여야 할 책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총 5부로 되어 있어, 1부 ‘사회 및 문화이론’은 프래그머티즘, 비판이론, 포스트모더니즘 및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을, 2부 ‘정치 및 교육’은 자유주의 및 공동체주의, 민주 시민성, 교육과 시장, 다문화교육을, 3부 ‘교육으로서의 철학’은 철학활동과 교육실천, 비판적 사고, 실천이성을, 4부 ‘교수와 교육과정’은 고등교육, 정보 및 의사소통 기술, 인식론, 직업교육, 진보주의를, 그리고 5부 ‘윤리학과 도야’는 성인과 아이들, 자율성 및 본래성, 도덕교육, 영성 등을 다루었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역자 서문
▣ 머리말
제1장 비판이론과 비판적 교육학
비판이론의 특징과 발전과정
비판이론의 교육적 관련성
특유의 통찰력과 기여
비판이론의 상이한 수용
비판이론과 학생운동
하나의 ‘다른’ 비판교육학?
제2장 페미니즘, 철학 그리고 교육
도입: 일상적인 철학과는 다른 것
(교육)철학과 관련된 페미니즘
정체성과 교육철학에 관한 두 가지 이야기
교육에서 사회적 정의와 정치의 상호적 중요성
공적인 영역에서의 여성
정해지지 않는 결론
제3장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I
II
제4장 교육과 시장
도입
I
II
제5장 고등교육과 대학
I
II
III
IV
제6장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
교육공학의 표면과 이면
존재론적 가정
교육을 위한 비판적인 주제
일과 놀이
상상력
제7장 인식론과 교육과정
I
II
제8장 성인들과 아동들
‘전통적’ 장면
‘진보주의적’ 장면
사회의 일반적인 변화
아동기 및 현대의 결혼
아이의 권리
부모의 권리와 아동양육의 본질
오늘날의 교육실천: 시론적 해석
리오타르와 아동의 ‘비인간성’: 교육철학을 위한 급진적 영감 얻기
제9장 교육에서의 자율성과 본래성
자율성과 본래성에 대한 합리주의적 관점과 실존주의적 관점
자율성, 본래성 및 의욕적 필연성
본래성, 실존적 의미 및 개인적 정체성
어떤 합리성인가? 어떤 정설인가?
자율성, 본래성 및 공동체
본래성, 책임 및 교육
▣참고문헌
▣찾아보기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