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 | 한국 사회와 대학입시제도에 대한 성찰 1. 서 론 2. 대입제도 변천과정 및 쟁점 3. 현행 대입제도에 대한 문제점 4. 대입제도 개편방안에 대한 새로운 요구 5. 맺음말 일 본 | 최근 일본의 대학입시제도 변화 1. 일본 고등교육의 구조 2. 근대 대학입시제도의 성립과 발달 3. 패전 이후 대학입시제도의 개혁 4. 최근 대입제도 개혁을 위한 새로운 연구 동향 5. 결론-개혁을 위한 새로운 과제 중 국 | 중국의 대학입시제도 1. 들어가는 말 2. 중국 입시제도의 동향 3. 중국의 현행 대학입학제도 4. 나오는 말 대 만 | 대만 다원입학제도의 개혁방안 논의 1. 서 론 2. 대만 대학입시 개혁의 배경 3. 다원입학제도 방안 4. 대만 대학입시 개혁안에 대한 논의 미 국 | 미국의 대학입시제도 1. 들어가는 말 2. 미국의 교육현황과 학제 3. 미국의 대학입시제도 4. 미국의 대학입학 관련 기관 5. 나가는 말 영 국 | 영국의 교육제도와 입시제도의 최근 동향 1. 입시제도의 이해를 위한 영국 학교 제도의 개관 2. 영국 대학입학시험제도의 실제와 특징 3. 영국의 대학입시제도 개혁안 4. 한국 사회에 던지는 시사점 프랑스 | 프랑스의 입시제도와 교육문제 1. 프랑스의 입시문화 2. 프랑스의 교육문제 3. 고등학교 진로결정 4. 고등교육기관의 종류와 입시제도 5. 시사점 : 근본적인 교육문제는 무엇인가? 독일Ⅰ I 독일의 교육제도 1. 유치원과 취학전 교육 2. 초등학교 3. 상급학교들 4. 삼지체제하에서의 주요학교 5. 삼지체제하에서의 실업학교 6. 삼지체제하에서의 김나지움 7. 교 재 8. 교사교육 9. 학년별 학습내용 10. 중간 단계의 문제 11. 김나지움의 ‘콜렉 단계’(Kollegstufe) 12. 아비투어(Abitur) 13. 대학입학 14. 결론적 고찰 독일Ⅱ | 독일 초·중등 교육제도의 현황과 개혁 방향 1. 도 입 2. 역사적 개관 3. 독일 교육제도의 법적인 기초와 행정 4. 독일 초·중등 교육제도의 특성과 개혁방향 5. 독일 초·중등 교육제도의 발전방향과 전망 덴마크 | 덴마크의 공교육체제와 고등교육의 입학·평가체제 1. 덴마크의 공교육체제 2. 고등학교 및 고등교육기관의 시험 및 입학제도 러시아 | 러시아의 교육개혁: 문제점과 전망 1. 간추려 살펴본 러시아의 교육제도 2. 대학입시·교육체제의 최근 변화 상황 3. 맺으며 미래를 위한 또 하나의 논의 | 우리 입시·교육 제도의 이미지 변환 -가능성과 불가능성 사이에서 방향잡기- 1. 도 입 2. 경쟁과 공존에 비추어 본 우리 입시·교육 제도의 성격 3. 최근 제안된 입시·교육 제도 개혁방안 4. 제도 개혁방안들에 대한 평가 5. 사립대 문제를 다루는 방식에 대하여 6. ‘개방대학’·‘자유대학’·‘통합대학’을 위한 상상력 7. 요약과 전망-질적 변화를 위한 요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