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잠재력 측정을 위한 역동적 평가 |
저자 | Robert J. Sternberg,Elena L. Grigorenko |
역자 | 염시창 |
판형 | 크라운판 |
제본 | 반양장 |
페이지 | 272p |
ISBN | 978-89-5891-385-6 93370 |
발행일 | 2006-09-30 |
정가 |
13,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교육자로서 평가의 관행에 대해 고민해 본 사람이라면, 교육의 결과로서 점수나 등급을 매기는 소극적 활동이 평가의 유일한 기능이 아니라는 점에 동의할 것이다. 평가는 교육자와 학습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교육자는 평가를 통해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수업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데 그치지 않고,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잠재력을 찾아내어 이를 계발하는 적극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후자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때, 평가는 ‘역동적’이고 ‘교육적’인 본래의 모습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교육학이나 심리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영역에 큰 시사점을 줄 것이며, 더 나아가 현장 교사나 예비 교사들이 기존의 평가방식에 안주하기보다는 평가를 새롭게 보고 수업에 통합하는 안목을 갖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이론적 틀
제1장 능력: 발달중인 전문성의 형식
1. 발달중인 전문성 모형의 특성
2. 일반요인과 능력의 구조
3. 발달중인 전문성과 시험
4. 결론
제2부 역동적 평가의 특성
제2장 역동적 평가의 기초
1. 잠재력 역량과 발달된 능력
2. 역동적 평가의 정의 및 정태적 평가와의 비교
3. 결론: 역동적 평가의 필요성
제3장 역동적 평가의 약사(略史)
1. 역동적 평가의 기초 이론
2. 결론
제3부 역동적 평가의 대표적인 접근법
제4장 Feuerstein의 접근법
1. LPAD의 이론
2. LPAD 검사
3. 경험적 연구결과
4. 정신위계적 접근법
5. 결론
제5장 Budoff의 접근법
1. 연구의 틀
2. 경험적 연구결과
3. 결론
제6장 기타 역동적 평가의 접근법
1. 점진적 프롬프트 접근법(학습과 전이에 의한 평가)
2. 유럽의 접근법
3. Swanson의 인지적 처리검사
4. 결론
제4부 역동적 평가에 대한 평가
제7장 역동적 평가 연구의 세 가지 문제점
1. 일반적인 목표: 평가인가, 수정인가, 아니면 둘 다인가
2. 변화의 측정
3. 역동적 평가도구의 생태학적 타당도
4. 결론
제5부 역동적 평가를 활용한 두 연구
제8장 숨겨진 잠재력 발굴을 위한 역동적 평가의 활용
1. 연구의 개요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제9장 외국어 학습능력의 측정: 수업과 평가의 통합
1. 연구의 개요
2. CANAL-F 이론
3. 모의검사
4. 연구 1: CANAL-FT 검사의 구인타당도와 내용타당도
5, 연구 2: CANAL-FT 검사의 준거관련 타당도 연구
6. 결론
제6부 변화의 측정
제10장 역동적 평가상의 측정 문제: 변화의 정량화
1. 변화의 유형
2. 과거의 변화 측정방법
3. 최근의 변화 측정방법
4. 결론
저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