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발전과 변화 |
저자 | 박병량 |
판형 | 신국판 |
제본 | 반양장 |
페이지 | 368p |
ISBN | 978-89-5891-334-4 93370 |
발행일 | 2006-08-25 |
정가 |
13,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이 책은 학교발전과 변화에 관한 이론, 개념, 전략, 기법을 소개한다. 이 책을 통해서 필자는 조직발전과 변화경영이라는 폭넓은 학문분야를 배경으로 하여 그동안 축적된 학교발전과 변화 분야의 연구 결과와 지식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동시에 학교발전과 변화에 관한 개념적 ․ 이론적인 쟁점과 실제 문제에 대한 필자의 견해도 피력하였다. 또한 이 책을 통해서 학교발전과 변화라는 비교적 독자적인 학문분야의 윤곽을 그려보려 하였다. 학교발전과 변화는 지난 수십 년간 교육개혁 운동과 병행하여 급속히 성장 ․ 발전한 연구 분야다. 이 분야의 연구 범위와 내용을 미진하나마 이 책의 내용 구성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10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이 책의 주제가 되는 학교발전과 변화의 의미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고, 제2장에서는 변화와 발전의 주체인 동시에 대상이 되는 학교와 학교교육의 성격을 분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학교변화에 초점을 두어 변화의 종류 및 유형, 동인, 저항 요소, 그리고 변화추진자의 역할과 자질을 살펴본 후, 학교개혁의 역사를 약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학교발전의 다양한 전략과 기법을 소개하였고, 제5장에서는 학교변화의 과정과 관련요인들을 자세하게 다루었다. 제6장에서는 학교효과성 연구를, 제7장에서는 학교개선 연구를 종합 ․ 정리하였다. 제8장에서는 학교변화와 발전의 기저가 되는 교육철학과 이념을 검토하였고, 제9장에서는 학교체제와 각 하위체제의 발전단계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10장에서는 1장에서 9장까지 각 장을 요약 ․ 논의하였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제1장 학교의 발전과 변화
1. 학교변화와 발전의 필요성
2. 학교발전의 개념
1) 발전의 개념
2) 발전적 변화의 특징
3. 학교변화의 개념
1) 변화의 의미
2) 변화의 역동성
3) 계획적 변화와 비계획적 변화
4. 조직발전이론
제2장 학교와 학교교육
1. 학교와 학교교육
1) 학교와 학교교육의 의미
2) 학교의 출현과 발달
3) 학교교육의 성격: 목적, 기능, 과업 그리고 특성
2. 학교를 보는 관점
1) 집단으로서 학교
2) 조직으로서 학교
3) 제도로서 학교
4) 개방체제로서 학교
3. 학교경영이 추구하는 가치
제3장 학교변화
1. 학교변화의 분류
1) 변화의 의도성
2) 변화의 대상
3) 변화의 복잡성
4) 변화의 크기: 잠재력
5) 변화의 동기
6) 변화의 기원
2. 학교환경: 변화의 동인
3. 변화에 대한 저항
1) 저항의 상황적 원인
2) 저항의 심리적 원인
4. 변화추진자
1) 변화추진자의 역할
2) 변화추진자의 자질
5. 교육변화의 약사(略史)
1) 미국의 학교개혁
2) 한국의 학교개혁
제4장 학교발전의 전략과 기법
1. 학교발전의 전략
1) 전략의 의미
2) 조직변화의 이론적 관점과 전략
3) 변화 전략의 유형
4) 변화 전략의 개발과 사용 시 고려할 사항
2. 학교발전의 접근 방법과 기법
1) 현장 연구
2) 집단역동성
3) 지식생산활용
4) 조직건강
5) 조직의 자기쇄신
6) 조직개발
7) 총체적 질 관리
8) 조직학습
9) 힘의 장이론
제5장 학교변화의 과정
1. 변화의 과정
2. 학교변화의 과정
1) 착수 단계
2) 실행 단계
3) 제도화 단계
3. 변화과정의 두 가지 관점과 특징
제6장 학교효과성
1. 학교의 조직효과성
2. 학교효과성 연구
1) 콜만 등의 연구
2) 플라우든 보고서와 젱크스의 연구
3) 브루코버 등의 연구
4) 에드먼즈의 연구
5) 루터 등의 연구
6) 퍼키와 스미스의 연구
3.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
4. 학교효과의 크기
5. 학교효과성 연구의 공헌
제7장 학교개선
1. 학교개선
1) 학교개혁과 학교개선
2) 학교개선의 정의
2. 학교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1) 본질적 학교연합(CES)
2) 학교발전 프로그램(SDP)
3) 모두를 위한 성공(SFA) 프로그램
4) OECD의 국제학교개선 프로젝트(ISIP)
5) 모두를 위한 교육의 질 개선(IQEA) 프로젝트
3. 성공적인 학교개선 프로그램의 특성
4. 학교개선을 위한 내부 조건: 학교의 발전능력
5. 상황에 적합한 학교개선 전략
6. 학교개선 연구의 공헌
제8장 교육철학과 이념
1. 교육철학 이론
1) 본질주의 교육 이론
2) 항존주의 교육 이론
3) 진보주의 교육 이론
4) 재건주의 교육 이론
2. 이념
1) 보수주의 관점
2) 자유주의 관점
3) 급진주의 관점
3. 철학적․이념적 갈등
제9장 학교체제의 발전 단계
1. 발전 단계의 의미
2. 학교구조의 발전 단계
3. 교수-학습과정의 발전 단계
4. 교사 경력의 발전 단계
5. 학교문화의 발전 단계
6. 학교체제의 발전 단계
제10장 요약과 전망
1. 학교의 발전과 변화
2. 학교와 학교교육
3. 학교변화
4. 학교발전의 전략과 기법
5. 학교변화의 과정
6. 학교효과성
7. 학교개선
8. 교육철학과 이념
9. 학교체제의 발전 단계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