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당신이 모르던 형성평가 이야기
평가는 어떻게 학생의 학습을 돕는가
저자 : Dylan Wiliam | 역자 : 손원숙, 김동욱, 노현종, 박상현
페이지 : 27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8,000원
  • 978-89-997-3375-8 93370
  • 2025-03-20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 AI 디지털 교과서 등 다양한 첨단 학습 도구가 등장하고 있지만, 교사의 역할은 여전히 학생들의 진정한 학습 향상에 필수적이다. 인공지능과 AI 디지털 교과서가 정보 전달과 자기주도학습 및 학생 개개인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는 반면, 교사는 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인지적 지원은 물론 정서적 지원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수업과 긴밀히 연계된 형성평가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이해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학생의 인지적·정서적 반응을 즉각 확인하여 학습 방향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과 세심한 관찰은 학생들의 학업적 성장을 촉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 책에서도 교육의 본질적인 목표인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자는 교육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교사의 질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현직 교사들의 역량 강화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 1 장 학업성취는 왜 중요한가
1. 학업성취의 중요성
2. 학업성취도 향상의 어려움
3. 3세대에 걸친 학교 효과 연구
4. 교사의 질의 중요성
5. 교사의 질 제고 방안
6. 결론

제 2 장 형성평가의 필요성
1. 교사 전문성 개발의 중요성
2. 형성평가의 기원
3. 형성평가의 정의
4. 형성평가의 전략
5. 평가: 교수와 학습을 연결해 주는 다리
6. 결론

제 3 장 학습 의도와 성취기준의 명료화, 공유 및 이해하기
1. 학습 의도의 중요성
2. 학습 의도를 사용하는 시기
3. 학습 의도 구성의 문제점 및 성취기준
4. 루브릭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
5. 실제적 기법
6. 결론

제 4 장 학습 증거 도출하기
1.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파악하기
2. 학생들의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파악하기
3. 실제적 기법
4. 결론

제 5 장 학습을 향상시키는 피드백 제공하기
1. 피드백의 질
2. 향후 조치를 위한 안내로서의 피드백
3. 실제적 기법
4. 결론

제 6 장 서로를 위한 교육 자원으로서의 학습자 활성화시키기
1. 효과적인 협동학습
2. 실제적 기법
3. 결론

제 7 장 학습자를 자기 학습의 주인이 되도록 활성화시키기
1. 학생 자기평가
2. 자기 테스트
3. 자기조절 학습
4. 실제적 기법
5. 결론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림

X

알림

X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