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사례 중심의 『사례로 배우는 심리상담의 실제』와 함께 상담이론을 다루는 이론서를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이론으로 배우는 심리상담의 실제』를 내면서 다음과 같은 점에 주안점을 두었습니다.첫째, 상담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기존 서적에서는 상담을 정의한 내용과 상담 구성요소 간에 유기적인 설명을 한 경우가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늘 이 부분이 불분명하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이 책에서는 상담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상담을 설명함으로써 상담에 대한 기본 지식과 상담 윤리를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둘째, 상담이론을 정신역동 상담이론, 인지행동 상담이론, 그리고 정서중심 상담이론 이렇게 세 영역으로 나누어 영역별로 대표 이론과 최근 이론을 포괄하고자 하였습니다. 정신역동 상담이론에는 정신분석, 대상관계이론, 그리고 단기 역동 심리치료를 소개하였고 인지행동 상담이론에는 제1흐름인 행동치료, 제2흐름인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와 인지치료, 제3흐름인 수용기반 치료(변증법적 행동치료, 수용-전념치료,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정서도식치료)를 소개하였습니다. 그리고 정서중심 상담이론에는 인간중심치료, 게슈탈트 치료, 실존치료, 그리고 정서중심치료를 소개하였습니다.셋째, 상담 초심자들이 사례개념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영역별로 대표 이론을 선정하여 어떻게 사례개념화를 하는지 설명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사용한 사례는 『사례로 배우는 심리상담의 실제』에 나오는 사례입니다. 이렇게 사례개념화를 이론별로 제시함으로써 초심자들이 사례개념화가 이론별로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이론별로 사례개념화를 어떻게 하는지도 배울 수 있게 하였습니다. 16장에서 사례 내용과 이론별 사례개념화 예시를 제시했으니 참고 바랍니다.넷째, 이론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론별로 내용 구성을 통일하여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