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제1장 기초 이해
1.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1) 트라우마의 정의
2) 외상 사건 VS. 외상 반응 VS. 외상 후 증상
3) 외상 사건의 분류
2. 중독이란 무엇인가
1) 중독자의 특성
2) 중독의 분류
3) 중독의 특성
4) 중독과 공존장애
5) 중독치료 모델
3. 트라우마와 중독의 병렬적 접근
1) 트라우마와 중독의 인과적 관계
2) 서로에게 나쁜 연결이 되어 가는 과정
3) 유일한 친구이자 독이 되어 버린 서로
4) 가족과 친구도 또 다른 나쁜 연결로
5) 병렬적 접근
제2장 보다 구체적으로: 트라우마와 중독
1. 트라우마와 뇌는 무슨 관련이 있을까
1) 뉴런
2) 신경계
3) 부교감신경계와 교감신경계
4) 삼중뇌와 사중뇌 가설
5) 변연계
6) 언어중추
2. 트라우마를 겪을 때, 몸의 반응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일반적응증후군
2) 호르몬/화학적 변화
3) 체신경계
4) 감각신경계
5) 싸움-도피 반응
6) 돌봄-도움 반응
7) 외상 후 증상-정서
8) 외상 후 증상-기억
9) 외상 후 증상-의미체계
3. PTSD란 무엇인가
1) PTSD란
2) PTSD의 진단
3) 복합 외상
4) PTSD와 CPTSD의 증상
5) PTSD의 발생 취약성
4. 중독의 진단체계
1) DSM-5(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제5판)
2) ICD-11(국제질병분류-제11판)
5. PTSD와 중독의 공통 신경생리체계
1) 뉴런과 신경계
2) 부교감신경계(PNS)와 교감신경계(SNS)
3) 삼중뇌 이론
4) 변연계
5) 언어중추
6) 일반적응증후군(GAS)
7) 호르몬 및 화학적 변화
8) 체신경계 및 감각신경계
9) 생존 반응(싸움-도피 반응, 돌봄-도움 반응)
10) 외상 후 증상
제3장 트라우마와 중독상담의 전략
1. 적용 가능한 이론적 접근은 무엇일까
1) 외상 경험에 대한 이해: 자극과 반응
2)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와 중독
3) 정신분석/정신역동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와 중독
4) 인본주의 이론(인간중심치료와 실존치료)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와 중독
5) 학습 이론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와 중독
6) 인지행동주의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와 중독
7) 기억 이론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와 중독
8) 사회인지 이론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와 중독
9) 게슈탈트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와 중독
10) 신체기반 이론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와 중독
11) 다중미주신경 이론에서 본 트라우마의 발생 원인
2. 트라우마와 중독상담을 어떻게 하는가
1) 미국심리학회(APA) 선정 PTSD 심리치료법
2) 미국심리학회(APA) 선정 중독 관련 심리치료법
3) 최근 기법
3. 트라우마 상담의 치료 요인은 무엇일까
1) 안전감
2) 신경생리학적 안정: 트라우마와 중독상담의 필수 치료 요인
3) 통제감
4) 연결성
5) 수용성
6) 통합성: 신체, 감정, 인지의 통합적 접근
7) 치료의 저해 요인
제4장 트라우마와 중독상담의 실제
1. 트라우마와 중독상담의 실제에서는 어떤 상황이 벌어지는가
1) PTSD와 중독의 형성 흐름도
2) 트라우마 상담의 과정
3) PTSD와 중독의 공존병리의 특성
2. 안전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1) 안전의 중요성: 트라우마와 중독상담에서의 역할
2) 정보 제공과 심리교육
3) 외상 생존자와 치료적 협력 관계 구축
3. 안정화 전략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안전지대 그리기
2) 그라운딩
4. 치유적 사례관리는 어떻게 하는가
1) 대상자 요구 파악 및 실질적 자원 연결
2) 정신의학과 협업
3) 고위험군 관리
4) 중독 관리
5) 증거기반 실무와 사례관리의 연계
5. 어떻게 면접하는가
1) PTSD와 중독의 상담자 되기
2) 라포 형성: 나/타인/세상을 믿을 수 있다
3) 구조화: 경계의 재건
4) 초기 면접 및 선별
5) 사정의 방법
6) 외상 사건
7) 중독자 가족에 대한 중재 목표 설정
6. 트라우마와 중독의 평가 도구들은 무엇이 있을까
1) 초기 평가 및 사례관리
2) 평가 분야별 척도
7. 트라우마와 중독 생존자의 사례 개념화를 어떻게 할까
1) 외상 경험의 분석
2) 중독 행동의 평가
3) 외상과 중독의 관계 분석
4) 심리적․환경적 요인 평가
5) 통합적 사례 개념화
6) 트라우마 상담의 3단계의 활용
8. 중독상담: 안정화 전략으로서 중독치료
1) 중독상담 시작하기
2) 중독상담 이어 가기
3) 통합적 접근
4) 사회적 통합 및 재활
5)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6) 중독자 가족상담
7) 중독 예방
8) 행위 중독
9) 중독적 성향
9. 정서 조절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1) 정서 조절이 중요한 이유와 정서 상태 관리
2) 정서 상태의 3요소와 정서 조절
3) 신경계와 정서 조절
4) 각성
5) 정서 조절 가이드: TST를 중심으로
6) TST 기반 정서 탐색 질문
7) 정서 조절 가이드 만들기
10. 인지 재처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1) 증거기반 이론(EST)
2) 인지 재처리에 들어가기 전에
3) 인지 재처리 과정 중에
4) 인지 재처리의 주요 기법
5) 최근 기법
11. 안전한 자료를 사용하는 트라우마 상담의 2단계 작업
1) 감정 접촉의 어려움과 안전한 상담 자료
2) 저항의 이해와 안전한 상담 자료의 활용
12. 외상 생존자에게 일상으로의 복귀는 무슨 의미일까
1) 증상 돌봄에서 기능 돌봄으로
2) 외상 경험의 의미 형성과 통합, 외상으로부터 배운 것의 인식과 표현
3) 새로운 자아의 발견
4) 기억과 애도 단계 이후의 정체성 변화
5) 외상 반응과 상실의 감정
6) 영적 반응과 의미 찾기
7) 의미 있고 지속 가능한 일 찾기: 창의적 복귀(의미 만들기)
8) 충분히 좋은 치료자와의 종결
9) 사회체계적 접근, 외상 사건 전보다 더 나은 환경이 되었는가
13. 트라우마 예방
1) 외상 사건 발생 후 경과 단계에 따른 반응과 초기 개입
2) 심리적 응급처치
3) 외상 인식기반 케어(TIC)
4) 애착과 중독
제5장 나를 돌보기
1. 직업적 소진
2. 트라우마와 중독상담자의 자격
3. 자기관리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