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생애 초기 문해력 발달(원서 9판)
저자 : Lesley Mandel Morrow | 역자 : 성미영
페이지 : 51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9,000원
  • 978-89-997-3318-5 93370
  • 2025-02-25
  • 4x6배판
  • 반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내용

아이들의 언어 발달은 음성 언어 발달이 먼저 진행되고 뒤이어 문자 언어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일반적으로 말하지만, 문자 언어 발달인 문해력 발달 역시 출생과 동시에 시작된다. 문해력은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지만, 더 넓게는 읽기와 쓰기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책을 입에 넣거나 던지거나 찢는 등의 행동 역시 문해력의 일부이다. 아이들의 음성 언어 발달과 문자 언어 발달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고, 함께 공생하면서 발달한다. 이 책은 이러한 관점에서 영유아 및 초등학생의 문해력 발달과 지도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이 책의 장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유치원 교실에 대해 살펴보며 우수한 문해력 지도의 모범적인 모델을 제공한다. 2장에서는 초기 문해력 발달 전략에 영향을 미친 과거와 현재의 이론, 연구 및 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3장에서는 평가의 중요한 문제를 다루고, 진정한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및 표준화된 평가를 위한 개념을 제공한다. 4장은 교실의 다양성에 관한 내용을 다루며, 영어 학습자(EL)에 대한 강조와 특별한 학습 요구에 대해 논의한다.5장부터 10장까지는 발현적 문해력 기술과 전략, 음성 언어 및 어휘 발달, 단어 연구, 이해력 및 쓰기를 다룬다. 11장에서는 문해력 발달과 교실 내 풍부한 문해력 영역을 구성하는 데 있어 아동 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2장에서는 학교 수업에 문해력을 통합하여 동기를 부여하는 데 중점을 둔다. 13장에서는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구성 요소의 조직 및 관리를 설명한다. 14장에서는 아동의 문해력 발달에 가정이 미치는 강력한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은 문해력 발달과 지도에 관심 있는 학부생, 대학원생, 영유아 교육기관 교사 등 다양한 분야의 독자에게 적합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 이들 모든 독자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Chapter 01 초기 문해 교실 사례 들여다보기
교사 및 학생 소개
웬디 교실의 전형적인 하루

Chapter 02 초기 문해력의 기초: 과거에서 현재로
유아교육의 역사적 근원: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이론의 영향
20세기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의 변화
유아기 문해력에 대한 주요 접근법
근거-기반 연구와 공공 정책이 초기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Chapter 03 초기 문해력 평가
초기 문해력 발달 평가
진정한 평가: 척도 및 전략
심층 평가 척도
표준화 검사: 장단점
문해력 표준과 문해력 교육과정의 변화
표준 시행 및 평가
아동 발달 단계

Chapter 04 문해력과 다양성: 다양한 요구를 가진 아동 가르치기
변화하는 인구통계와 문화적 다양성이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에서 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지원
특별한 아동을 위한 전략
차별화된 지도를 통한 다양성 해결
문해력 요구의 다양성을 위한 공감 실천하기

Chapter 05 영아 언어 발달: 출생부터 2세까지
언어 발달 과정에 대한 이론
출생부터 8세까지의 언어 발달 단계에 대한 개요
출생부터 2세까지 아동의 언어 발달 지원 전략

Chapter 06 언어 및 어휘 발달: 유아기부터 초등학교 3학년까지
표현 언어 및 수용 언어 향상을 위한 목표와 전략
대화에 아동의 참여를 유도하는 풍부한 교실 문해 환경
어휘 지도의 명시적 전략
어휘 발달을 위한 다양한 전략
아동의 언어 및 어휘 발달 평가

Chapter 07 발현적 문해력 기술 및 전략: 아동의 단어 이해 지원
초기 문해력에서의 단어 이해: 이론과 연구
인쇄물 개념에 대한 학습 내용
알파벳을 가르치기 위한 전략
발음 중심 교수법 이외의 단어 이해 전략
발현적 문해력에 대한 지식 평가

Chapter 08 음운 인식 및 발음 중심 교수법
음운과 음소 인식 정의 및 활동 식별
발음 중심 교수법의 정의 및 기술 학습의 효과적 전략 설명
단어-학습 기술의 지식 평가

Chapter 09 텍스트 이해력 및 유창성 발달
텍스트 이해력에 대한 이론과 연구
이해력 지도를 위한 교실 조직 전략
아동의 텍스트 이해력 향상을 위한 읽기 연구-기반 전략
이해력을 위한 유창성
텍스트 이해력 평가

Chapter 10 쓰기, 맞춤법 및 문해력 발달
쓰기 발달의 다양한 이론
초기 쓰기 발달을 위한 전략
유치원부터 3학년까지 쓰기 전략
쓰기 유형
쓰기 기술
쓰기 평가

Chapter 11 교실에서의 아동 문학 활용
문해력 영역 구성: 좋은 읽기 및 쓰기 습관 형성
교실의 아동 문학
아동 문학 활동
동화구연과 독립적 읽기
책에 대한 아동의 태도 평가

Chapter 12 문해력 발달을 위한 동기 부여 환경 조성: 긍정 마인드셋, 기술, 통합 및 놀이
교실에서 동기 부여 촉진
독자와 작가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전략
교실에서 긍정적 성장 마인드셋 조성
읽기 및 쓰기에 기술 통합
극놀이를 통한 아동의 읽기와 쓰기 참여방법
문해력 학습을 주제 단원 및 프로젝트-기반 학습에 통합
내용 영역 분야의 문해력 기술

Chapter 13 문해력 교육 조직 및 관리
아동의 학교 내 행동 관리 지원 방법
문해력이 풍부한 물리적 환경 준비
차별화된 지도를 위한 구성
안내된 읽기를 위한 구성: 소집단 명시적 기술 지도
일일 문해력 일정 조직 및 관리

Chapter 14 가정 문해력 연계: 가정과 학교의 협력
가정 문해력
부모/보호자 참여 체계
풍부한 가정 문해 환경을 위한 교재 및 활동
가정 연계와 가정 문해력에 대한 다문화적 관점
가족 연계 구축

알림

X

알림

X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