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시작하며: 무대 설정하기
이 책과 시연 동영상에 대한 안내
사례 가족에 대한 안내
제2장 가족치료: 오케스트라의 협주 듣기
서론
체계이론
가족치료 세계로의 안내
몇 가지 질문들
참고문헌
제3장 가족사정: 알아야 할 것을 알아내기
서론
가족에 대해 알아 가기
가족이 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문제가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사례개념화
변화에 대한 의지
결론
동영상 보기: 가족 사정하기-가족패턴을 이해하기
참고문헌
제4장 통합적 가족치료: 오늘날의 임상 실제
서론
르보우의 통합적 가족치료
애착기반 가족치료: 이론적 통합이 된 가족치료의 예
치료적 동맹
통합적 가족치료로서의 근거기반 실천모델: 청소년 섭식장애를 위한 가족치료
통합적 가족치료의 유산
동영상 보기: 통합적 모델-대화에 대해 이야기하고 치료적 동맹 구축하기
참고문헌
제5장 구조적 가족치료: 가족과 함께 새로운 춤 만들어 가기
서론
이론의 배경
구조적 가족치료의 핵심 개념
가족구조
가족구조를 변경하기 위해 설계된 기법들
구조적 가족치료의 유산
동영상 보기: 구조적 학파- 실연
참고문헌
제6장 전략적 가족치료: 언어를 치료적으로 활용하기
서론
교활한 여우의 진화
MRI: 말과 세계관에 주목하기
헤일리와 마다네스: 변화를 끌어들이다
전략적 가족치료의 유산
동영상 보기: 전략적 학파- 재구성하기
참고문헌
제7장 밀란학파와 후기 밀란학파: 가족의 규칙과 의미 변화시키기
서론
밀란협회
초기 밀란: 핵심 개념
초기 밀란: 핵심 기술들
초기 밀란: 핵심적 실천들
후기 밀란학파의 아이디어와 기술
밀란학파의 유산: 후기 밀란학파에서 현대 실천에 이르기까지
동영상 보기: 밀란 및 후기 밀란학파- 순환질문
참고문헌
제8장 내러티브치료: 이야기 해석하기
서론
내러티브치료의 가정들
체계론적 전통과의 연결성
동영상 보기: 내러티브학파- 외재화
참고문헌
제9장 체계론적으로 개인 내담자 개입하기: 새로운 관점 열어 주기
서론
역사적 발전
핵심 개념들
이전 시대의 유산과 향후 전망
동영상 보기: 개인 내담자와 체계론적으로 작업하기-내면화된 타인 인터뷰
참고문헌
제10장 체계론적 슈퍼비전: 치료 성과 증진을 위한 반성적 실천하기
서론
반성: 치료 실천에 대해 더욱 의식하기
더 깊은 반성의 실천
슈퍼비전이라는 거울을 통해 우리가 알게 되는 것
슈퍼비전에서의 반영적 과정
결론
동영상 보기: 자기-반영성 슈퍼비전
참고문헌
에필로그: 종점인가 출발점인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