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결혼과 가족(2판)
저자 : 정옥분, 정순화
페이지 : 44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5,000원
  • 978-89-997-3352-9 93370
  • 2025-02-25
  • 4x6배판변형
  • 반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내용

이 책은 모두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결혼과 가족의 기초’에서는 결혼과 가족의 의미와 한국가족의 개괄적인 변화 및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저출산·고령화의 문제를 살펴보았으며, 제2부 ‘친밀한 관계의 형성과 발전’에서는 두 사람이 친밀감을 형성하고 결혼에 이르는 과정과 관련된 사랑과 성, 이성교제와 배우자 선택, 약혼과 혼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부 ‘가족관계의 형성과 적응’에서는 부부관계와 결혼만족도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부부관계와 의사소통, 부부관계와 성적 친밀감, 부부관계와 역할분담, 부모자녀관계, 중년기와 노년기의 가족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각 주제별로 저출산 관련 가족친화 정책이나 고령사회 정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4부 ‘가족의 위기와 전망’에서는 이혼과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해 살펴보고, 미래가족의 전망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번 2판의 제1장에서는 결혼의향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고, 제2장에서는 탈근대적 가족이념 관련내용을 재구성하였으며, 제6장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류적, 정서적, 인지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던 기존의 내용을 개인 요인, 부부관계 요인, 가족체계 요인, 사회인구학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고령화 사회의 문제를 비중 있게 다루기 위해 제11장 ‘중년기의 가족관계’에서는 노인학대 문제를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제12장 ‘노년기의 가족관계’에서는 자녀가 결혼하면서 새롭게 직면하는 성인자녀와의 관계 가운데 대표적인 ‘고부관계’와 ‘장서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11장과 제12장 모두 부모자녀세대의 과업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그 외에도 가족관련 법률이나 통계수치의 변화로 제9장 역할부분에 대한 내용과 제14장 대안적 가족형태에 대한 내용이 상당 부분 교체, 수정되었다. 이 책은 결혼생활을 위한 준비교육에 역점을 두었기 때문에 결혼과 가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두 사람이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과정과 부부관계를 형성한 두 사람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결혼에 대한 성숙한 생각과 적응능력을 키워나가기를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결혼과 가족의 기초
제1장 결혼과 가족의 의미
1. 결혼의 의미
2. 가족의 의미
3. 결혼과 가족연구의 관점

제2장 한국가족의 변화
1. 가족형태의 변화
2. 가족이념의 변화
3. 가족가치관의 변화
4. 가족기능의 변화
5. 가족변화의 추이
6. 저출산·고령화와 한국가족

제2부 친밀한 관계의 형성과 발전
제3장 사랑과 성
1. 사랑의 의미
2. 성의 의미
3. 사랑과 성행동
4. 피임방법

제4장 이성교제와 배우자 선택
1. 이성교제
2. 배우자 선택

제5장 약혼과 혼례
1. 약혼의 기능
2. 결혼준비교육
3. 혼례
4. 혼례문화의 문제와 개선
5. 혼인관련법규

제3부 가족관계의 형성과 적응
제6장 부부관계와 결혼만족도
1. 결혼에 대한 기대
2. 결혼만족도의 개념과 구성
3.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
4. 부부관계유형과 결혼만족도

제7장 부부관계와 의사소통
1. 부부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의미
2. 남녀의 의사소통방식
3.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
4. 효율적 의사소통방식
5. 갈등해결과 의사소통

제8장 부부관계와 성적 친밀감
1. 부부관계에서 성적 친밀감의 의미
2. 남녀의 성 반응
3. 성기능 장애
4. 성적 적응을 위한 지침
5. 외도

제9장 부부관계와 역할
1. 부부관계에서 역할의 의미
2. 역할분담 실태와 인식
3. 역할과 가족 내 권력관계
4. 맞벌이가족의 자녀양육역할

제10장 부모자녀관계
1. 부부관계에서 자녀의 의미
2. 부모의 역할
3. 부모의 양육태도

제11장 중년기의 가족관계
1. 중년기의 부부관계
2. 자녀와의 관계
3. 노부모와의 관계

제12장 노년기의 가족관계
1. 노년기의 부부관계
2. 자녀와의 관계
3. 손자녀와의 관계
4. 형제자매관계

제4부 가족의 위기와 전망
제13장 이혼
1. 이혼의 현황
2. 이혼증가의 원인
3. 이혼의 영향
4. 이혼의 적응

제14장 다양한 가족
1. 한부모가족
2. 새부모가족
3. 분거가족
4. 독신
5. 동거

제15장 미래가족의 전망
1. 사회변화와 가족의 변화
2. 가족변화에 대한 관점
3. 가족문제에 대한 해법
4. 미래의 결혼과 가족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림

X

알림

X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