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사회복지실습세미나
사회복지현장실습 교과목
저자 : 김혜성, 박화옥, 임정원, 천덕희
페이지 : 24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7,000원
  • 978-89-997-3222-5 93330
  • 2025-02-28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 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교과목 중의 하나이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사 국가시험이 시행되면서 법정 필수과목이 되었고, 최근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으로 사회복지현장실습 기준 및 대학에서의 사회복지실습세미나가 강화되었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실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현장실습지침서』를 마련하였고,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교과목 지침」을 제공하였다.저자들은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에서 2011년부터 다년간 수행해 온 실습세미나 수업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현장에서 배운 경험을 세미나를 통해 어떻게 지식과 통합하고 그들의 역량을 증진하도록 하는지 그 방법을 소개하고자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을 집필하기에 앞서 사회복지현장실습 교과목을 담당했거나 담당하는 교수가 중심이 되어 2018년, 2021년, 2024년 총 3회에 걸쳐 강남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의 교수혁신공동체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현장실습 교과목 실습세미나의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의 성과물로 2025년 2월 이 책이 완성되었다. 이 책에서는 실습세미나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강의 계획과 내용, 다양한 활동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저자들은 실습세미나의 방향성을 명확하게 하고, 실습 경험에서 얻은 지식과 교훈, 그리고 사회복지 역량을 실습세미나를 통해 한층 더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지식과 기술, 윤리, 법과 제도 등 사회복지 이론과 실천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이 책을 집필하였다. 제2부 제6, 12, 13장은 김혜성 교수가, 제1부와 제2부 제5, 14장은 박화옥 교수가, 제2부 제4, 7, 11장과 부록은 임정원 교수가, 제2부 제2, 3, 8, 9, 10장은 천덕희 교수가 각각 담당하였다. 활동 및 예시는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학생들이 실습세미나 수업을 통해 제출한 과제들을 그대로 사용한 것도 있고 각색 및 수정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사회복지현장실습 이해

제1장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이해
1. 사회복지현장실습 개요
2.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과정
3. 사회복지현장실습 절차
4. 실습생의 역할과 자세

제2부 사회복지실습세미나

제2장 사회복지실습세미나에 대한 이해
1. 사회복지실습세미나 교과목의 이해
2. 사회복지실습세미나의 운영 및 학습 활동에 따른 슈퍼비전의 활용
3. 학습 활동
4. 학습 활동 예시

제3장 사회복지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점검 및 사회복지사로서의 역량
1.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목적 및 목표
2.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 선정과 실습기관에서의 실습 목표에 따른 적용
3. 사회복지현장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강점 및 개선점
4. 학습 활동
5. 학습 활동 예시

제4장 지식과 경험의 통합: 현장에서 적용한 사회복지실천방법 및 기술, 이론
1. 현장에서 적용한 사회복지실천 방법 및 기술
2. 교과목 강의 이수 여부가 실습에 미치는 영향력
3. 지식과 경험의 통합적 접근
4. 학습 활동
5. 학습 활동 예시

제5장 사회복지실천 과정: 직접 및 간접 실천이 클라이언트 체계에 미치는 영향
1. 사회복지실천 과정과 개입 전략
2. 직접 개입 전략과 사회복지실천
3. 간접 개입 전략과 사회복지실천
4. 직접 및 간접 실천이 클라이언트 체계에 미치는 영향
5. 학습 활동
6. 학습 활동 예시

제6장 사회복지실천과 실습 기록
1. 현장실습 기록과 관련된 이론적 이해
2. 사회복지실천 기록의 기능과 분류
3. 사회복지 임상 실천에서의 기록 역량 쌓기
4. 학습 활동

제7장 사회조사와 지역사회
1. 실습기관의 기능과 역할
2. 실습기관이 속한 지역사회의 욕구
3. 지역사회 욕구와 서비스
4. 학습 활동
5. 학습 활동 예시

제8장 사회복지실천, 정책, 행정, 법규 및 제도와의 연계
1. 사회복지제도
2.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제도의 연계
3.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제도의 연계
4. 학습 활동
5. 학습 활동 예시

제9장 사례개입 및 사례관리
1.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사례개입과 사례관리
2. 사례관리 기능의 다양성과 사례관리 실행 과정
3. 학습 활동
4. 학습 활동 예시

제10장 사회복지프로그램(프로그램, 프로포절, 사업계획서)
1.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사회복지프로그램(프로그램, 프로포절, 사업계획서)의 의미
2.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기획(작성법)
3. 학습 활동
4. 학습 활동 예시

제11장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의 이해와 활용
1. 현장실습을 통한 전문가 슈퍼비전
2. 실습세미나를 통한 슈퍼비전
3. 현장과 이론의 통합을 위한 슈퍼비전
4. 학습 활동
5. 학습 활동 예시

제12장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윤리
1.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윤리적 실천
2. 윤리적 실천과 문제해결 과정
3. 학습 활동
4. 학습 활동 예시

제13장 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자기인식
1. 사회복지 전문가의 정체성
2. 실습생의 가치관과 정체성
3. 학습 활동
4. 학습 활동 예시

제14장 실습세미나 관련 다양한 학습 활동
1. 실습세미나의 기능과 학습 활동
2. 실습기관 및 실습 내용 분석과 발표 자료 제작
3. 실습 박람회
4. 현장 전문가(동문) 특강
5. 프로그램 기획서 경진대회
6. 학습 활동 예시


부록

알림

X

알림

X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