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①
추천의 글 ②
여는 글
제1부 2022 개정 교육과정과 IB 견주어 보기
제1장 2022 개정 교육과정과 IB의 지향점, 깊이 있는 이해
1.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2.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2022 개정 교육과정과 IB,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3. 깊이 있는 이해를 실현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제2부 IB로 개념기반 탐구수업 실현하기
제2장 수업의 지표가 되는 전이목표
1. 수업은 어디를 향하고 있을까
2. 수업의 목표는 무엇을 제시하고 있을까
3. 수업의 목표를 제시하는 데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4. 수업의 목표를 어떻게 제시하면 좋을까
제3장 수업의 디딤돌, 평가
1. 평가, 어떻게 해야 할까
2. 평가의 뼈대, 무엇이 다를까
3. 수업에서 평가는 어떻게 설계할까
4. 수업에 평가를 어떻게 적용할까
제4장 수업 설계와 탐구학습의 마중물, 탐구질문
1. 어떻게 묻고, 어떻게 묻게 할까
2. 어떤 질문이 탐구질문이 될까
3. 왜 질문이 깊이 있는 탐구를 이끌 수 있을까
4. 어떻게 깊이 있는 탐구를 위한 질문을 구성할까
제5장 1+1을 2보다 더 크게 만드는 교수 · 학습 접근 방법
1. 수업 시간에 제공한 그 많았던 1은 어디로 갔을까
2. 1+1을 2보다 더 크게 만드는 수업이란 무엇일까
3. 수업과 학습에서 더 큰 배움을 얻을 수 있는 공식은 무엇일까
4. 2보다 더 큰 배움을 얻을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해 볼까
제6장 탐구하고 전이하는 학습 경험, 활동
1. 탐구와 전이는 어떻게 경험될까
2. 개념기반 단원 활동을 어떻게 적용할까
제7장 교육과정의 중핵, 창의적 체험활동
1. 진정한 의미의 창의적 체험활동은 무엇일까
2.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어떻게 융합할까
3. 교과 속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을, 창의적 체험활동 속에서 교과를
4.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결, 수업에서 어떻게 설계할까
제8장 성장을 향한 발돋움, 성찰
1. 성찰, 우리도 하고 있는 것 아닐까
2. 우리가 생각한 성찰과 무엇이 다를까
3. 성찰적 실천, 어떻게 할까
4. 성찰, 나도 해 볼까
제3부 교과별 단원 설계 사례
제9장 고등학교 과정 단원 설계 사례
1. 언어와 문학
2. 언어습득(영어)
3. 응용과 해석
4. 식품과학 및 기술
제10장 중학교 과정 단원 설계 사례
1. 교과 통합(과학+개인과 사회)
2. 언어습득(영어)
닫는 글: IBEC 과정 성찰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