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과학기반 실천을 토대로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즉, 기존의 실증적 연구결과들을 이 책에 담고자 노력하였다. 예를 들면, 상담효과, 상담과정, 상담효과 요인, 상담특수요인, 상담기제나 기법 등에 대한 실증적 연구결과들을 이 책의 내용에 담고자 하였다. 그리고 탁월한 선배 상담자들의 상담실무적 경험자료, 즉 임상적 경험자료들도 최대한 담고자 하였다. 더불어, 저자가 35년 넘게 해 온 개인상담 실무 경험자료, 그리고 대학이나 전문기관에서 개인상담 교육을 실시하면서 축적해 온 교육적 경험자료들도 최대한 담고자 하였다. 그리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과학적 절차를 고려하여 내용들을 구성하고자 하였고, 이후 구성 내용에 대한 진위나 효과검증을 할 수 있도록 진술하고자 노력하였다.2판에는 1판에 없던 내용들을 많이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장 반응분석, 제9장 상담목표 설정, 제10장 저항처리, 제16장 추후지도’는 1판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용으로, 2판에 새롭게 추가하였다. 이 중 제2장 ‘반응분석’에서는 이 책의 이론적 토대이자 저자의 개인적 상담이론 모형인 반응분석 이론에 대해 설명하였다. 즉, ‘반응분석의 전제조건, 상담문제론, 상담문제 원인론, 상담개입 방법론’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는 『상담사례 개념화와 반응분석』(고기홍, 2020)에 기술된 반응분석 상담이론 모형을 요약한 것이다. 그리고 제16장 ‘추후지도’에서는 상담종결 이후의 개인상담 서비스 사후관리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세부 내용으로 ‘추후지도 개념 정의, 추후지도 유형, 추후지도 목적과 목표, 추후지도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는 추후지도에 대한 과학적 연구자료나 임상적 경험자료가 부족한 현실을 고려해서 주변 상담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후지도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그리고 ‘제1장 개인상담, 제3장 상담 준비, 제4장 신청접수, 제5장 접수면접, 제6장 상담관계 형성, 제7장 문제 명료화, 제8장 문제 평가, 제11장 감정정화 및 일치, 제12장 이해 경험, 제13장 대안 설정, 제14장 행동 형성, 제15장 상담종결’은 1판에서도 다루었던 내용으로, 2판에서는 과학기반 실천을 토대로 수정·보완을 해서 기술하였다. 이들 중에 어떤 장은 많이 수정·보완을 하였고, 어떤 장은 일부만 수정·보완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