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상담(2판)
저자 : 고기홍 | 역자 :
페이지 : 52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7,000원
  • 978-89-997-3297-3 93180
  • 2025-01-1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과학기반 실천을 토대로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즉, 기존의 실증적 연구결과들을 이 책에 담고자 노력하였다. 예를 들면, 상담효과, 상담과정, 상담효과 요인, 상담특수요인, 상담기제나 기법 등에 대한 실증적 연구결과들을 이 책의 내용에 담고자 하였다. 그리고 탁월한 선배 상담자들의 상담실무적 경험자료, 즉 임상적 경험자료들도 최대한 담고자 하였다. 더불어, 저자가 35년 넘게 해 온 개인상담 실무 경험자료, 그리고 대학이나 전문기관에서 개인상담 교육을 실시하면서 축적해 온 교육적 경험자료들도 최대한 담고자 하였다. 그리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과학적 절차를 고려하여 내용들을 구성하고자 하였고, 이후 구성 내용에 대한 진위나 효과검증을 할 수 있도록 진술하고자 노력하였다.2판에는 1판에 없던 내용들을 많이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장 반응분석, 제9장 상담목표 설정, 제10장 저항처리, 제16장 추후지도’는 1판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용으로, 2판에 새롭게 추가하였다. 이 중 제2장 ‘반응분석’에서는 이 책의 이론적 토대이자 저자의 개인적 상담이론 모형인 반응분석 이론에 대해 설명하였다. 즉, ‘반응분석의 전제조건, 상담문제론, 상담문제 원인론, 상담개입 방법론’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는 『상담사례 개념화와 반응분석』(고기홍, 2020)에 기술된 반응분석 상담이론 모형을 요약한 것이다. 그리고 제16장 ‘추후지도’에서는 상담종결 이후의 개인상담 서비스 사후관리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세부 내용으로 ‘추후지도 개념 정의, 추후지도 유형, 추후지도 목적과 목표, 추후지도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는 추후지도에 대한 과학적 연구자료나 임상적 경험자료가 부족한 현실을 고려해서 주변 상담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후지도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그리고 ‘제1장 개인상담, 제3장 상담 준비, 제4장 신청접수, 제5장 접수면접, 제6장 상담관계 형성, 제7장 문제 명료화, 제8장 문제 평가, 제11장 감정정화 및 일치, 제12장 이해 경험, 제13장 대안 설정, 제14장 행동 형성, 제15장 상담종결’은 1판에서도 다루었던 내용으로, 2판에서는 과학기반 실천을 토대로 수정·보완을 해서 기술하였다. 이들 중에 어떤 장은 많이 수정·보완을 하였고, 어떤 장은 일부만 수정·보완을 하였다.

목차

2판 머리말
1판 머리말


제1장 개인상담
개인상담 개념 정의

제2장 반응분석
1. 전제조건
2. 상담문제론
3. 상담문제 원인론
4. 상담개입 방법론

제3장 상담 준비
1. 상담자 자질
2. 상담면접 준비
3. 개인상담실의 물리적 환경 조성

제4장 신청접수
1. 상담 문의와 상담 안내
2. 내담자 방문과 접수
3. 신청접수 후 조치
4. 신청접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제5장 접수면접
1. 접수면접 구조화
2. 정보수집
3. 선별
4. 고지된 동의
5. 배정 및 의뢰
6. 단회상담 조치
7. 접수면접 마무리

제6장 상담관계 형성
1. 상담관계 발달
2. 상담구조화
3. 라포 형성

제7장 문제 명료화
1. 호소문제 명료화
2. 문제상황 명료화

제8장 문제 평가
1. 평가
2. 진단
3. 사례개념화
4. 상담계획 수립

제9장 상담목표 설정
1. 개념 정의
2. 상담목표 설정 기능
3. 상담목표 유형
4. 상담목표 설정 과정

제10장 저항처리
1. 상담학자들의 저항에 대한 개념 정의
2. 저항의 주요 특성
3. 저항에 대한 개념 정의
4. 저항과 상담성과와의 관계
5. 저항의 원인
6. 저항처리 목표
7. 저항처리 방법

제11장 감정정화 및 일치
1. 감정정화를 위한 상담관계 형성
2. 회상, 재경험, 그리고 표현 촉진
3. 일치 및 수용받는 경험의 촉진
4. 기타 고려사항

제12장 이해 경험
1. 지적 이해의 촉진
2. 정서적 이해의 촉진

제13장 대안 설정
1. 소망 탐색
2. 대안 탐색
3. 목표 설정
4. 실행계획 수립

제14장 행동 형성
1. 행동 형성 원리
2. 능력 형성
3. 실행 촉진

제15장 상담종결
1. 종결 논의
2. 상담평가
3. 상담 마무리 조치

제16장 추후지도
1. 추후지도 개념 정의
2. 추후지도 유형
3. 추후지도 목적과 목표
4. 추후지도 방법
5. 추후지도 과정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림

X

알림

X

도서목록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