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남북한이 비록 불안정하고 적대적인 관계에 있다 할지라도 미래를 함께해야 한다는 사실을 당위로 받아들이고 남북한 영유아 교육·보육의 역사를 진지하게 탐구하다 보면 동질적인 부분을 발견하고 남북한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할 방안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분단 이후 동·서독에서 시행되었던 영유아 교육·보육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통일을 맞이함으로써 혼란과 진통을 겪었던 독일을 상기해 보면, 분단 이후 남북한 영유아 교육·보육의 역사에 대한 고찰은 통일한국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절차이고 과정이라 하겠다.이 책은 서론, 제1부 남한, 제2부 북한, 제3부 다른 나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건강과 행복은 영유아의 권리라는 전제하에 공공 시스템으로서 영유아 교육· 보육이 갖춰야 할 조건을 간단히 피력하였다. 제1부에서는 남한 영유아 교육·보육의 역사를 1945~1990년, 1991~2003년, 2004~2011년, 2012년 이후 등 네 시기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제2부에서는 북한 영유아 교육·보육의 역사를 1945~1975년, 1976~1994년, 1995년 이후 등 세 시기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미국·중국·독일·스웨덴의 영유아 교육·보육 현황과 변천사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