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사실과 소재에서 도출된 개념과 일반화로 이루어진 지식의 구조는 사회과 및 과학과 등에서 두드러지며, 기능, 전략, 과정에서 도출된 개념과 일반화로 이루어지는 과정의 구조는 국어과 및 영어과 등에서 더욱 강조된다. 그러나 초등교사인 역자들은 다양한 교과목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 교수·학습을 실천하며, 정도와 비중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교과가 지식의 구조와 과정의 구조를 품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교과마다 반드시 다루어야 할 기능이 있으므로 지식의 구조와 더불어 과정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각 교과의 교사가 개념 기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데에 힘을 실어 준다. 특히 언어 교과를 과제 수행을 위한 도구로만 전용(轉用)하지 않기 위해 간학문 및 초학문적 교수·학습을 실행하는 교사는 과정의 구조를 더욱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역시 교과별 탐구를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의미를 발견해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개념 기반 교육과정을 교육과정 설계의 방안으로 활용한다면 국가 교육과정의 목표가 보다 수월하고 효과적인 여정을 거쳐 학교 교육과정 또는 교사 교육과정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과 같은 언어 교과를 가르치는 초·중등교사는 이 책을 통해 과정의 구조에 해당하는 다양한 개념과 일반화의 예를 찾아볼 수 있으며, 개념 기반 교육과정 단원 설계를 두루 살핌으로써 언어 교과를 위한 전이 가능한 학습에 관해 더욱 공고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