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주체성과 道(한글 증보판)
저자 : 이동식 | 역자 :
페이지 : 44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7,000원
  • 978-89-997-3275-1 93510
  • 2024-11-15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동식 선생님께서 저서 중 가장 자신의 사상을 깊고 상세히 기술한 『韓國人의 主體性과 道』가 한자가 많아 젊은 세대가 읽기 어려워한다고 안타까워하셨다. 이에 한자를 한글로 바꾸고 괄호 안에 한자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타이핑하며 한글화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번 한글 증보판은 원판에 있는 1부, 2부, 3부에 선생님의 다른 글들을 모아 4부로 엮으면서 총 4부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한국인의 주체성의 천명과 확립방안에 관한 논문들을 실었다. 제2부는 현대인류문명의 위기와 도(道)의 관계, 도의 현대적 의의를 밝힌 글과 한국사회의 정신병리와 정신건강의 문제, 상담이나 정신치료와 도의 관계, 한국의 전통에 뿌리박은 정신치료, 상담에 관한 글들이다. 제3부는 여기저기 발표한 글의 일부를 모아서 ‘과거, 현재, 미래’라는 표제로 모은 것이다. 제4부는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의 글들을 모아 ‘동서문화의 통합’이라는 주제로 실었다.이 책을 통해 주체성과 도(道)의 의미를 개인의 삶 그리고 한국인으로서의 삶에서 되새길 수 있기를 바란다.  

목차

한글 증보판을 편집하면서
한글 증보판을 출간하면서
머리말
제2판을 내면서

<font color=009999><b>제1부 한국인의 주체성과 그 확립방안</b></font>
1. 한국인의 주체성과 학생 지도의 이념
2. 한국인의 사상적 병폐
3. 한국을 보는 새로운 눈
4. 한국인의 정신건강과 교육의 과제
5. 여성의 역할과 현대 한국여성
6. 주체성의 본질과 표현

<font color=009999><b>제2부 현대문화와 도(道)</b></font>
1. 현대와 인간소외
2. 불안의 실태와 도피행위
3. 이질적 가치체계 간의 갈등
4. 유아의 정신발육
5. 한국에서의 정신치료 및 카운슬링의 철학적 정초 서설
6. 도(道)와 카운슬링 및 카운슬러
7. 무지(無知)의 지(知)
8. 도(道)의 현대적 의의
9. 선(禪)과 정신분석
10. 불교와 상담
11. 세계정신건강연합체(WFMH)와 한국의 정신건강운동
12. 정신건강의 현대적 개념과 우리나라의 당면과제
13. 한국이 당면하는 정신치료와 관계 분야의 과제
14. 한국에서의 정신치료
15. 도(道)와 학(學)
16. 도(道)와 과학
17. 인간학과 한국사상
18. 어린이의 성장과 현대사회의 문제점
19. 문명에 조명한 과학의 사명
20. 한국 지식인의 의식 성향

<font color=009999><b>제3부 과거, 현재, 미래</b></font>
1. 한국병의 뿌리
2. 한국의 민주주의
3. 식민잔재의 청산과 민족정기
4. 한국인과 일본 말
5. 정신과의사가 본 한민족, 아시아 경기대회
6. 국민의식과 행동방식
7. 재미교포의 주체성
8.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심성
9. 민족주의와 세계주의
10. 대학생의 정신건강
11.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자
12. 무절제론
13. 독재자의 독재심리
14. 자존(自尊)과 자모(自侮)
15. 현대인의 광기와 그 특징

<font color=009999><b>제4부 동·서 문화의 통합</b></font>
1. 프로이트의 생애와 사상
2. 정신치료자라는 외길을 걸어온 나의 발자취
3. 동·서 정신치료의 통합
4. 한류란 무엇인가

⊙ 부록: 소암 이동식 선생 약력

알림

X

알림

X

도서목록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