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관계 정신분석
유아기, 상호주관성, 애착에 관한 통합적 접근
저자 : Stephen Seligman | 역자 : 박영란, 박혜원, 송영미, 조성민, 이은경, 최정희, 김양자, 최미선, 류혜진, 김태완, 신원일, 이현아, 허 준
페이지 : 36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4,000원
  • 978-89-997-3255-3 93180
  • 2024-11-15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직접적인 유아 관찰, 정신분석 환자들과의 경험, 사회적․역사적․생물학적 논문 등을 망라하는 다중-학제적 접근을 읽기 쉽게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심리치료 과정뿐 아니라 유아-부모 상호작용의 생동감 있는 예시를 제시한다. 또한 프로이트 이래 정신분석에서 아동기와 아동 발달이 차지하는 위치를 추적하며, 아기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가 어떻게 발전하고 분석 이론과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 준다.

목차

<font color=663333><b>역자 서문</b></font>
<font color=663333><b>한국어판 서문</b></font>
<font color=663333><b>이 책이 기대되는 이유</b></font>
<font color=663333><b>서론: 왜 발달 정신분석인가</b></font>

<font color=663333><b>1부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나-아동기와 발달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의 지침-</b></font>

<font color=FF3300><b>1장 아동기는 아동기만의 의미가 있다-프로이트와 정신분석의 탄생-</b></font>

<font color=FF3300><b>2장 이론 1-전조: 초기 프로이트 이론의 핵심 주제와 논쟁-</b></font>

<font color=FF3300><b>3장 갈림길에 선 아기-구조 모델, 자아 심리학, 대상관계 이론-</b></font>

<font color=FF3300><b>4장 이론 2-‘견고한 발달 관점’이란 무엇인가-</b></font>

<font color=FF3300><b>5장 전후 미국 정신분석의 다양화와 다원화-학제 간 연구의 확대와 임상 범위의 확장, 새로운 발달론-</b></font>

<font color=663333><b>2부 관계적 아기-상호주관성과 유아 발달-</b></font>

<font color=FF3300><b>6장 유아기 연구-관계-발달 정신분석을 향하여-</b></font>

<font color=FF3300><b>7장 유아 연구의 임상적 함의-정동, 상호작용, 비언어적 의미-</b></font>

<font color=FF3300><b>8장 이론 3-관계적 아기: 정신분석의 이론과 기법-</b></font>

<font color=FF3300><b>9장 유아기에서 성인기로의 연속성-욕조 밖에 있는 아기-</b></font>

<font color=FF3300><b>10장 이론 4-모성으로 이동: 상호주관적 발달 연구에서 본 젠더와 섹슈얼리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font>

<font color=663333><b>3부 임상 과정에서 애착과 인식-성찰, 조절, 그리고 정서적 안정-</b></font>

<font color=FF3300><b>11장 상호주관성의 현재-지향성과 개념-</b></font>

<font color=FF3300><b>12장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애착 이론 및 연구-임상적 함의-</b></font>

<font color=FF3300><b>13장 심리치료와 유아기의 인식과 성찰-애착 이론과 정신분석의 수렴-</b></font>

<font color=FF3300><b>14장 정신화와 은유, 인식과 슬픔-성찰적 공간에서 일어나는 여러 형태의 변형-</b></font>

<font color=FF3300><b>15장 유아-부모 상호작용, 판타지, ‘내적 2인 심리’-트라우마의 세대 간 전승과 투사적 동일시에 대한 클라인 학파 및 상호주관적 관점-</b></font>

<font color=663333><b>4부 발달과 심리치료에서의 활력, 활동, 의사소통</b></font>

<font color=FF3300><b>16장 시간 속에서 다시 살아나기-시간성과 초기 박탈, 미래에 대한 생생한 감각-</b></font>

<font color=FF3300><b>17장 활력의 형태와 그 외의 통합들-정신분석의 핵심에 대한 다니엘 스턴의 공헌-
</b></font>
<font color=663333><b>5부 인식과 혼란 그리고 불확실성-일상적 분석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적 역동-</b></font>

<font color=FF3300><b>18장 주의를 기울이는 동안 느끼는 혼란-치료적 변화의 동인으로서의 분석적 태도-</b></font>

<font color=FF3300><b>19장 정신분석의 기본 틀로서의 역동체계 이론-발달과 치료 행위의 변화 과정-</b></font>

<font color=FF3300><b>20장 핵심 원리 찾기-루이스 샌더의 생물학적, 심리학적, 관계적 요소와 현대 발달 정신역동의 종합-</b></font>

<font color=663333><b>참고문헌</b></font>
<font color=663333><b>찾아보기</b></font>

알림

X

알림

X

도서목록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