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한국어판 서문
이 책이 기대되는 이유
서론: 왜 발달 정신분석인가
1부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나-아동기와 발달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의 지침-
1장 아동기는 아동기만의 의미가 있다-프로이트와 정신분석의 탄생-
2장 이론 1-전조: 초기 프로이트 이론의 핵심 주제와 논쟁-
3장 갈림길에 선 아기-구조 모델, 자아 심리학, 대상관계 이론-
4장 이론 2-‘견고한 발달 관점’이란 무엇인가-
5장 전후 미국 정신분석의 다양화와 다원화-학제 간 연구의 확대와 임상 범위의 확장, 새로운 발달론-
2부 관계적 아기-상호주관성과 유아 발달-
6장 유아기 연구-관계-발달 정신분석을 향하여-
7장 유아 연구의 임상적 함의-정동, 상호작용, 비언어적 의미-
8장 이론 3-관계적 아기: 정신분석의 이론과 기법-
9장 유아기에서 성인기로의 연속성-욕조 밖에 있는 아기-
10장 이론 4-모성으로 이동: 상호주관적 발달 연구에서 본 젠더와 섹슈얼리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3부 임상 과정에서 애착과 인식-성찰, 조절, 그리고 정서적 안정-
11장 상호주관성의 현재-지향성과 개념-
12장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애착 이론 및 연구-임상적 함의-
13장 심리치료와 유아기의 인식과 성찰-애착 이론과 정신분석의 수렴-
14장 정신화와 은유, 인식과 슬픔-성찰적 공간에서 일어나는 여러 형태의 변형-
15장 유아-부모 상호작용, 판타지, ‘내적 2인 심리’-트라우마의 세대 간 전승과 투사적 동일시에 대한 클라인 학파 및 상호주관적 관점-
4부 발달과 심리치료에서의 활력, 활동, 의사소통
16장 시간 속에서 다시 살아나기-시간성과 초기 박탈, 미래에 대한 생생한 감각-
17장 활력의 형태와 그 외의 통합들-정신분석의 핵심에 대한 다니엘 스턴의 공헌-
5부 인식과 혼란 그리고 불확실성-일상적 분석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적 역동-
18장 주의를 기울이는 동안 느끼는 혼란-치료적 변화의 동인으로서의 분석적 태도-
19장 정신분석의 기본 틀로서의 역동체계 이론-발달과 치료 행위의 변화 과정-
20장 핵심 원리 찾기-루이스 샌더의 생물학적, 심리학적, 관계적 요소와 현대 발달 정신역동의 종합-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