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
최신 뇌과학 이론과 임상적 실제의 모든 것
저자 : 천근아 외 공저 | 역자 :
페이지 : 48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32,000원
  • 978-89-997-3256-0 93370
  • 2024-10-30
  • 4x6배판

내용

이 책은 “자폐는 왜 생기는 병인가요?” “무슨 치료를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예후는 어떤가요?”라고 묻는 환자와 가족들, 환자를 진료하고 연구하는 제자들과 동료 선후배들, 아이들을 가르치는 학교 교사들, 발달센터에서 언어치료와 행동치료, 특수교육을 담당하는 치료사들, 더 나아가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해 보다 전문적으로 이해하길 원하는 모든 분을 위한 교과서이다.저자는 병원에서 환자들을 진료하는 임상의사이자 뇌과학 연구자로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고 핵심 증상을 개선시킬 치료제를 개발해야 한다는 무한한 책임감을 느끼며, 이 교과서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 현재까지 근거가 확립된 원인론과 ‘근거 중심치료’가 무엇인지 말하고 있다.교과서는 총 4부, 19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역사 및 역학, 진단과 평가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였고, 제2부는 유전학적, 뇌과학적 원인론에 대한 최신 신경생물학적 지견, 제3부는 약물치료 및 근거기반치료와 각종 새로운 치료법, 제4부는 발달 과정에서 생기는 공존질환, 청소년과 성인기의 진로와 자립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각 장마다 관련 사례들을 복수로 소개함으로써 이론적인 내용이 실제 환자에 어떻게 적용될 수있는지 이해시키고자 노력했다.

목차

머리말


<font color=663300><b>PART 0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 및 평가</b></font>

<font color=006699><b>Chapter 01 역사 및 역학</b></font>
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역사
2.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역학
3. 역학연구의 진보 및 난제점
4. 결론 및 요약

<font color=006699><b>Chapter 02 진단기준, 임상양상</b></font>
1. 진단기준
2. 임상양상

<font color=006699><b>Chapter 03 선별 및 진단 도구</b></font>
1. 선별도구
2. 진단도구
3. 참고자료

<font color=006699><b>Chapter 04 심리평가</b></font>
1. 발달검사
2. 인지검사
3. 적응능력검사
4. 정서 및 행동 검사
5. 결론

<font color=006699><b>Chapter 05 신경학적 평가</b></font>
1. 혈액검사
2. 신경학적 영상 검사
3. 기능검사
4. 결론

<font color=006699><b>Chapter 06 조기진단 및 바이오마커</b></font>
1. 조기진단
2. 바이오마커
3. 결론 및 요약


<font color=663300><b>PART 02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원인</b></font>

<font color=006699><b>Chapter 07 유전적 요인</b></font>
1. 쌍둥이 및 가족 연구
2. 염색체 재배열부터 복제수 변이까지
3. 후보 유전자부터 전장 엑솜/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까지
4. 공통 변이
5. 유전적 구조
6.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된 주요 유전 증후군
7. 유전적 변이와 관련된 생물학적 경로 _ 172
8. 유전자 검사에 대한 권고사항
9. 미래 연구 전망

<font color=006699><b>Chapter 08 환경적 요인</b></font>
1. 환경적 요인의 이론적 배경
2. 환경적 위험 요인
3. 결론

<font color=006699><b>Chapter 09 뇌 영상 연구</b></font>
1. 사회적 뇌
2. 구조적 뇌 영상 연구
3. 기능적 뇌 영상 연구
4. 분자적 뇌 영상 연구
5. 향후 전망
6. 결론

<font color=006699><b>Chapter 10 신경생화학 및 신경생리학 연구</b></font>
1. 신경생화학 연구
2. 신경생리학 연구


<font color=663300><b>PART 03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치료</b></font>

<font color=006699><b>Chapter 11 약물치료</b></font>
1. 자폐스펙트럼장애 증상 치료에 자주 쓰이는 약물들
2, 도전 과제와 향후 방향

<font color=006699><b>Chapter 12 비약물적 치료의 이론적 접근: 근거기반치료 중심으로</b></font>
1. 응용행동분석
2. 포괄적 치료 모델
3. 특정 기능에 집중한 개입
4. 기타
5. 치료 선택의 다양한 임상 사례

<font color=006699><b>Chapter 13 근거기반치료의 적용 (1): 치료사 중심</b></font>
1. 근거기반치료의 소개
2. 근거기반치료의 적용
3. 대표적인 근거기반치료 프로그램
4. 결론 및 요약

<font color=006699><b>Chapter 14 근거기반치료의 적용 (2): 가정, 학교 중심</b></font>
1. 가정 중심의 지원
2. 학교 중심의 지원
3. 결론 및 요약

<font color=006699><b>Chapter 15 새로운 치료적 접근</b></font>
1. 마이크로바이옴
2. 신경조절술
3. 보완 대체 의학
4. 유전자 치료
5. 디지털 치료제
6. 결론 및 요약

<font color=006699><b>Chapter 16 디지털 치료기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진단 및 치료적 중재</b></font>
1. 디지털 치료기기와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
2. 디지털 치료기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및 치료적 중재
3. 디지털 치료기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의 제한점 및 지향점
4. 결론 및 제언


<font color=663300><b>PART 04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의 공존질환과 청소년 및 성인기</b></font>

<font color=006699><b>Chapter 17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의 공존질환</b></font>
1. 공존질환의 진단과 치료
2. 감별진단
3. 결론 및 요약

<font color=006699><b>Chapter 18 청소년기 자폐스펙트럼장애</b></font>
1. 청소년기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임상적 특성
2. 청소년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
3. 청소년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공존질환
4. 청소년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치료
5.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청소년기 경과와 예후
6. 결론

<font color=006699><b>Chapter 19 성인기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건강과 직업 재활</b></font>
1. 성인기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신적·신체적 건강문제
2.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자립
3.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직업 재활
4. 직업 현장에서의 자폐스펙트럼장애
5. 결론


찾아보기

알림

X

알림

X

도서목록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