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왕준, 김지현, 박희진, 변수연, 송효준, 이동엽, 이수정, 이전이, 이호준, 정설미, 최경준, 한재범, 함승환 | 역자 :
페이지 : 336p
내용
교사교육에서 교육행정학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교육행정학이 호기심과 탐구를 자극하는 흥미로운 분야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교육행정학은 단순히 지식 꾸러미가 아니라 질문과 사고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교육행정학에 관한 다양한 질문을 제기하며, 독자들로 하여금 활발히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를 통해 교육행정학적 탐구의 세계로 발을 내딛는 값진 기회를 얻게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
<font color=2F9D27><b>제1장 교육은 어떻게 행정과 만났나</b></font>
1. 교육은 어떻게 공교육이 되었나
2. 공교육은 어떤 목적을 지니나
3. 공교육은 교육적인가
4. 교육행정은 왜 중요한가
<font color=2F9D27><b>제2장 효과적인 학교란 무엇인가</b></font>
1. 효과적인 학교는 어떤 학교인가
2. 학교 효과성 논의는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
3. 효과적인 학교를 만드는 요인은 무엇인가
<font color=2F9D27><b>제3장 어떤 학교 문화를 조성할 것인가</b></font>
1. 문화는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2. 학교 문화는 어떻게 다른가
3. 학교 문화는 누가,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
<font color=2F9D27><b>제4장 학교를 다문화 포용적으로 만들려면 </b></font>
1. 다문화 포용적 학교는 뭔가 다르다
2. 학교의 다문화 포용성을 위해 교사는 무엇을 할 수 있나
3. 학교의 다문화 포용성을 위해 학교 리더는 무엇을 할 수 있나
<font color=2F9D27><b>제5장 교사의 전문성은 어디서 오는가</b></font>
1. 교직은 전문직인가
2. 교사의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3. 교사의 전문성은 어디서 오는가
<font color=2F9D27><b>제6장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b></font>
1. 왜 교사인가
2. 교사는 어떠한 사람들이며, 어떠한 직무를 수행하는가
3. 교사들은 어디에서 보상과 동기를 얻는가
4. 교사들은 어떤 점에서 스트레스와 소진을 느끼는가
5. 어떻게 교사를 지원할 것인가
<font color=2F9D27><b>제7장 미래 사회는 어떤 교사를 요구하나</b></font>
1. 미래 사회에 인간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2. 미래 사회에 학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3. 미래 사회는 어떤 교사를 요구하는가
<font color=2F9D27><b>제8장 학교장의 역할은 왜 중요한가</b></font>
1. 학교장은 학교 조직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2. 다양한 상황에서 학교장의 리더십 스타일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나
3.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교육개혁의 중재자로서의 학교장
<font color=2F9D27><b>제9장 교육감의 역할은 왜 중요한가</b></font>
1. 교육감은 어떻게 선출되나
2. 교육감의 사무와 권한은 무엇인가
3. 교육감 제도를 지탱하는 지방교육자치의 의의는 무엇인가
4. 지방교육 발전을 위한 교육감의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가
<font color=2F9D27><b>제10장 학교자치는 목표인가 수단인가</b></font>
1. 지금 학교가 공동체의 가치를 더욱 붙잡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 학교자치의 법적·제도적 근거는 무엇인가
3. 학교자치의 개념은 학교 혁신 및 혁신학교 정책의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4. 학교자치의 가치와 실행주체는 시민교육의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font color=2F9D27><b>제11장 균등한 교육기회란 무엇인가</b></font>
1. 균등한 교육기회란
2. 적정성은 왜 중요한가
3. 적정성의 관점에서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제도를 둘러싼 쟁점은 무엇인가
<font color=2F9D27><b>제12장 교육정책은 어떻게 전개되나</b></font>
1. 교육정책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2. 교육정책은 누가, 어떻게 결정하는가
3. 교육정책은 왜, 언제, 어떻게 변화하는가
<font color=2F9D27><b>제13장 교육정책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나</b></font>
1. 교육정책은 항상 성공하는가
2. 교육정책 평가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3. 교육정책 평가는 어떻게 할 수 있나
4. 교육정책 평가는 왜 어려운가
<font color=2F9D27><b>제14장 교육행정이 초연결사회를 만나면</b></font>
1. 초연결사회의 미래는
2. 학교 교육의 미래는
3. 교육행정의 과제는
부록 각 장의 주요 이론과 개념(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