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Michelle G. Craske, Halina J. Dour, Michael Treanor, Alicia E. Meuret
| 역자 : 김경희, 이희경
페이지 : 224p
내용
이 책은 "긍정정서치료(Positive Affect Treatment: PAT)"의 혁신적인 접근을 통해 무쾌감증(anhedonia)으로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들을 돕기 위한 실질적인 전략들을 제공한다. 무쾌감증은 우울증과 불안장애의 핵심 증상으로, 삶의 즐거움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이 책에서는 과학적 근거와 풍부한 사례를 통해 무쾌감증 치료에 유용한 도구들을 제시한다. 특히 우울한 내담자에게 긍정정서치료를 적용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들은 긍정적인 활동에 대해 이질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이 포함되어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모듈 1 심리교육
제1장 치료자를 위한 입문 정보
이 프로그램의 배경 정보 및 목적
무쾌감증이란 무엇인가
기존 치료는 무쾌감증에 충분하지 않다
긍정정서치료의 효능
긍정정서치료에 적합한 대상은 누구인가
다른 정서적 문제가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약물치료의 역할
누가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하는가
내담자 워크북 사용의 이점
제2장 행동과학과 신경과학에서 무쾌감증 치료의 초점 식별
무쾌감증 치료를 위한 표적: 보상 과정
보상을 원하고, 좋아하고, 학습하기 위한 기술들
정서에 이름 붙이기
기분이 나아지기 위한 활동
긍정적인 것에 주의 기울이기
긍정성 구축하기
제3장 일반적인 치료 형식과 치료 원칙 안내
치료 모듈 및 치료 일정 개관
모듈 요약
치료 일정
치료의 기초 및 활동 양식
프로그램 조정
내담자 참여
제4장 심리교육
필요한 재료
목표
내담자 워크북 제4장의 정보 요약
주요 개념
기분 사이클
기분 사이클이란 무엇인가
하향 나선과 상향 나선
정서에 이름 붙이기
과제
사례
문제 해결
치료자 노트
모듈 2 치료 기술 세트
제5장 기분이 나아지기 위한 활동
필요한 재료
목표
내담자 워크북 제5장의 정보 요약
주요 개념
긍정적 활동의 중요성
‘기분이 나아지기 위한 활동’의 구조
일상 활동 및 기분 모니터링
일상 활동 및 기분 모니터링 과제
일상 활동 및 기분 모니터링 사례
일상 활동 및 기분 모니터링 문제 해결
긍정적 활동 설계하기
긍정적 활동 설계하기 사례
긍정적 활동 설계하기 문제 해결
긍정적 활동 실천하기
긍정적 활동 실천하기 과제
긍정적 활동 실천하기 사례
긍정적 활동 실천하기 문제 해결
순간을 향유하기
순간을 향유하기 사례
순간을 향유하기 문제 해결
제6장 긍정적인 것에 주의 기울이기
필요한 재료
목표
내담자 워크북 제6장의 정보 요약
주요 개념
‘긍정적인 것에 주의 기울이기’의 중요성
긍정적인 면 찾기
긍정적인 면 찾기 과제
긍정적인 면 찾기 사례
긍정적인 면 찾기 문제 해결
주인의식 갖기
주인의식 갖기 과제
주인의식 갖기 사례
주인의식 갖기 문제 해결
긍정적인 상상하기
긍정적인 상상하기 과제
긍정적인 상상하기 사례
긍정적인 상상하기 문제 해결
제7장 긍정성 구축하기
필요한 재료
목표
내담자 워크북 제7장의 정보 요약
주요 개념
‘긍정성 구축하기’의 중요성
자애 실천하기
배경
자애 실천하기 과제
자애 실천하기 사례
자애 실천하기 문제 해결
감사 실천하기
배경
감사 실천 방법
감사 실천하기 과제
감사 실천하기 사례
감사 실천하기 문제 해결
관대함 실천하기
배경
관대함 실천 방법
관대함 실천하기 과제
관대함 실천하기 사례
관대함 실천하기 문제 해결
이타적 기쁨 실천하기
배경
이타적 기쁨 실천 방법
이타적 기쁨 실천하기 과제
이타적 기쁨 실천하기 사례
이타적 기쁨 실천하기 문제 해결
모듈 3 치료 성과 및 재발 예방
제8장 치료 이후 여정 지속하기
필요한 재료
목표
내담자 워크북 제8장의 정보 요약
주요 개념
치료 성과 검토하기
실천 지속하기
도전적인 시기와 장벽 다루기
사례
문제 해결
부록: 내담자 활동지
읽을거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