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작업에서 포용적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며, 독자들이 새로운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과학적으로 입증된 치료 기법을 통해 더 많은 이에게 심리치료의 혜택을 전달하고, 지역 간, 집단 간의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기여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인지행동치료의 원리와 기법을 쉽게 배우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역자 서문 저자 서문 <font color=F8B047><b>제1장 서론</b></font> 서론 인지행동치료 저강도 인지행동치료 및 서비스의 제공: 단계별 관리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요약 <font color=F8B047><b>제2장 저강도 인지행동치료 임상가의 역할</b></font> 서론 내담자 적합성 길잡이식 자조 인터넷 기반 인지행동치료 심리교육그룹 요약 <font color=F8B047><b>제3장 문제 이해하기</b></font> 서론 진단 측정치 공식화 결론 요약 <font color=F8B047><b>제4장 치료 관계</b></font> 서론 인지행동치료에서 치료 관계의 특성 인지행동치료에서 치료 관계의 역할 저강도 인지행동치료에서 치료 관계의 특성 협력적 관계를 촉진하는 임상가의 역할 치료 관계의 발전 결론 요약 <font color=F8B047><b>제5장 면담의 구조</b></font> 서론 평가 면담 환자 트리아지 면담 치료 면담 전화를 통한 업무 접근방식의 조정 요약 <font color=F8B047><b>제6장 평가와 위험 관리</b></font> 서론 배경: 환경 조성하기 자살 위험과 관련이 있는 요인 자살 위험 평가를 기반으로 의사결정하기 면담 구조 위험 평가의 예시 위험 관리와 관련이 있는 임상 기술 다른 형태의 위험에 대한 평가 평가 척도의 역할 요약 <font color=F8B047><b>제7장 행동 변화와 내담자 참여</b></font> 서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여도 평가 및 어려움 ‘진단’ 참여도 향상 결론 요약 <font color=F8B047><b>제8장 우울 이해하기</b></font> 서론 우울이란 임상적 우울 우울 진단하기 우울을 다른 장애와 구별하기 위험 재발 우울의 유지 과정 이해하기 결론 요약 <font color=F8B047><b>제9장 불안 이해하기</b></font> 서론 불안이란 임상 불안 불안이 유지되는 과정 공식화 자조 정보 활용하기 결론 요약 <font color=F8B047><b>제10장 치료 전략들</b></font> 서론 개관 평가 저강도 인지행동치료 치료법 약물치료 지원 재발 방지 결론 요약 <font color=F8B047><b>제11장 포용적 가치와 관점</b></font> 서론 포용적 가치, 법률 및 정책 영향의 층 포용적 치료와 문화 치료 관계 윤리적 실천 의료 분야의 일반적인 윤리적 실천 원칙 심리치료의 윤리적 원칙 결론 요약 <font color=F8B047><b>제12장 포용적 실무</b></font> 서론 적응 치료 및 실질적 편의 제공 치료 관계 참여, 평가 그리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맥락 지역적 맥락 포용적 실무와 정치적·공동체적·사회적·역할적 맥락에 대한 고려 치료적 목표와 문화적 맥락 결론 요약 <font color=F8B047><b>제13장 노인과 함께 작업하기</b></font> 서론 노년기란 심리적 개입이 노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노년기의 다양성 평가 노인의 특정 정서장애 평가하기 치료 요약 <font color=F8B047><b>제14장 만성질환에 대해 작업하기</b></font> 서론 생물심리사회적 모델 평가 치료 사례 결론 요약(과 잠재적인 난제) <font color=F8B047><b>제15장 학습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저강도 인지행동치료 적용</b></font> 서론 학습장애의 역학 학습장애가 있는 사람들에서의 정신질환 역학 학습장애가 있는 사람들과의 저강도 인지행동치료 작업에서의 가정 학습장애가 있는 사람들과의 초기 만남 구조화된 평가 사용하기 개입법 조정하기 요약 <font color=F8B047><b>제16장 직업과 웰빙</b></font> 서론 ‘직업’이란 무엇인가 직업과 웰빙 직업과 관련한 문제에 내담자 참여시키기 직업과 관련한 문제에서 내담자를 돕기 위한 저강도 인지행동치료 임상가의 역할 결론 요약 <font color=F8B047><b>제17장 지도감독</b></font> 서론 임상 지도감독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임상 지도감독의 기능 저강도 인지행동치료 지도감독이 다른 점은 무엇인가 사례관리 지도감독 기술개발 지도감독 지도감독 내에서의 문제 결론 요약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