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화는 마음의 렌즈를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으로, 공감과 신뢰를 형성하고, 갈등을 해결하며, 사회적 적응을 돕는 중요한 디딤돌입니다. 이 책은 아동을 위한 정신화 -기반 치료(MBT-C)를 체계적으로 소개하며, 아동이 복잡한 사회적 세계에서 성장하고, 더 나은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MBT-C는 아동의 심리적 발달 및 정서조절 능력 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역자 서문 서문 서론 우리의 치료적 접근법 아이를 위한 정신화-기반 치료의 기원 이 책의 개요 <font color=FF8224><b>제1부 이론적 배경</b></font> <font color=2F9D27><b>제1장 정신화의 발달</b></font> 정신화가 중요한 이유 정신화 능력을 증진시키는 요소 아동기의 시기에 따른 정신화 능력 결론 <font color=2F9D27><b>제2장 정신화의 미발달 혹은 일시적 붕괴</b></font> 정신화의 문제에 대한 개론 아이에게서 관찰되는 정신화의 미발달 아이에게서 관찰되는 비-정신화 상태 애착과 정신화의 붕괴 학대와 방임과 연관된 정신화의 실패 정신화의 문제와 아동기의 정신장애 결론 <font color=FF8224><b>제2부 치료기법</b></font> <font color=2F9D27><b>제3장 MBT-C의 구조와 목적</b></font> MBT-C 치료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아이 MBT-C의 주요 목표 MBT-C의 구조와 체계 치료를 위한 물리적 환경 치료의 구조로서의 정해진 시간 중점과제 개념화 한 명 혹은 두 명의 치료자 사례의 소개 결론 <font color=2F9D27><b>제4장 MBT-C에서 치료자의 자세</b></font> MBT-C 치료자의 치료적 현존 행동이 아닌, 마음에 대한 관심 호기심과 (궁금증을 가진) ‘알지 못한다는 자세’ 잘못된 이해에 대한 모니터링 정신화 자세를 돕기 위한 슈퍼비전(혹은 자문) 결론 <font color=2F9D27><b>제5장 MBT-C에서의 평가과정</b></font> 평가과정의 구조 아이 및 가족과의 첫 회기 아이에 대한 평가회기 부모와의 평가회기 사례 개념화를 위한 인상 모으기 중점과제 개념화의 사용 목표의 설정 결론 <font color=2F9D27><b>제6장 MBT-C에서 아이와의 치료작업</b></font> 놀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MBT-C 외상사건에 대한 정신화적인 이야기 만들기 결론 <font color=2F9D27><b>제7장 MBT에서 부모와의 작업</b></font> 부모와의 작업에서의 정신화 자세 장점에 대해 작업하기, 관찰을 장려하기, 놀이를 촉진하기 강한 감정에 대한 유발요인을 찾기 갈등을 가진 부모와의 작업 위탁가정 부모와의 작업 부모와의 작업 종결 결론 <font color=2F9D27><b>제8장 MBT-C에서의 종결: 작별을 향하여</b></font> 단기작업의 특성을 소개하기 종결을 염두에 두고 작업하기 치료의 종결이나 지속에 대한 결정 리뷰세션을 위한 아이와 부모의 준비 검토회기 치료의 마지막 단계 종결 이후: ‘부스터 회기’ 예상치 못한 치료의 종결 결론 <font color=2F9D27><b>제9장 MBT-C 사례연구</b></font> 의뢰 사유 및 배경 가족과의 평가회기 부모와의 평가회기 아이와의 평가회기 평가 내용을 공유하며 중점과제를 개념화하기 초기 단계 Lulu의 부모와의 치료작업 검토회기 치료의 중기 단계 종결 단계 두 번째 검토회기 및 종결 작업 결론 <font color=2F9D27><b>결론: MBT-C의 발달과정 및 앞으로 남은 과제</b></font> 과거를 돌아보며 앞으로 남은 과제 <font color=2F9D27><b>부록: 아이와 부모의 성찰능력에 대한 평가 도구</b></font> 1. 부모의 성찰능력에 대한 평가 2. 트라우마와 관련된 성찰능력의 평가 3. 마음을 헤아리는 양육에 대한 상호작용 평가 4. 아동의 정신화 및 성찰능력의 평가 5. 아이의 애착에 대한 평가 6. 놀이에 대한 평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