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철학상담의 철학에 대한 서곡
제1장 “철학상담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간추린 답변
제2장 철학상담은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지만 본보기가 없다
제3장 철학상담은 “삶의 숙달”을 표방한다
제4장 대화 숙달
제5장 철학상담의 기본 규칙
제6장 시작에 대하여
제7장 직업으로서의 철학
제8장 쇠렌 키르케고르, 철학상담과 교양, 그리고 철학상담자는 누구인가라는 질문
제9장 철학상담과 덕
제10장 무엇에 좌우되는가? 무엇이 진정으로 중요한가? 무엇이 궁극적으로 결정적인가?-철학상담을 주도해 가는 관점들
제11장 운명과 성격, 철학상담을 위해 쇼펜하우어로부터 배울 게 많다
제12장 심리치료와 영적돌봄에 대한 대안으로서 철학상담
제13장 정신분석가는 지하실을 뒤지고, 철학자는 초월적이고 철학적인 구름을 밟으며 어디서나 길을 잃고, 철학상담자는 벨 에타쥐에서 손님에게 헌신한다-지난 40년간의 철학상담에 대한 회고
제14장 철학의 유산을 습득하는 것은 철학상담의 사명이다-자살철학에 대한 기여
제15장 철학을 하도록 젊은이들을 데려오는 것은 그들을 철학으로 유혹하는 것을 의미한다-젊은이들과 함께 철학함에 대한 몇 가지 단상
제16장 우리의 전기가 우리가 조언하는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기
제17장 철학상담을 위한 커리큘럼의 주요 특징
참고문헌
찾아보기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