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발달과 읽기장애
저자 : Kate Cain | 역자 : 윤효진, 정경희
페이지 : 39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5,000원
  • 978-89-997-3146-4 93180
  • 2024-07-10
  • 4x6배판변형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읽기에 대한 단순한 관점에서부터 아동의 읽기발달과 읽기장애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읽기란 무엇인지에서부터 읽기발달과 장애의 연구방법, 읽기 모델, 난독증 및 읽기이해 부진의 이론과 원인 등을 탐구한다. 또한 읽기이해를 지원하는 기술과 교육·중재 방법 및 읽기의 평가에 대한 중요한 고려 사항도 빠짐없이 다룬다.

목차

◈ 역자 서문
◈ 저자 서문

<font color=#F2CE00><b>제1장 읽기 연구 개관</b></font>
1. 읽기란 무엇인가
2. 문어와 구어와의 관계
&nbsp;&nbsp;1) 읽기의 독특한 점은 무엇인가
&nbsp;&nbsp;2) 신호의 물리적 형태
&nbsp;&nbsp;3) 사회적 상황을 고려한 메시지 설계
&nbsp;&nbsp;4) 읽기를 배우기 시작하는 학생은 어떤 문제에 직면하는가
&nbsp;&nbsp;5) 요약
3. 읽기발달과 읽기장애를 연구하는 방법
&nbsp;&nbsp;1) 읽기를 평가하는 방법
&nbsp;&nbsp;2) 읽기발달과 읽기장애 연구를 위한 실험 설계
&nbsp;&nbsp;3) 요약
○ 이 책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개요
○ 핵심 요약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font color=#F2CE00><b>제2장 능숙한 단어 읽기</b></font>
1. 단어 읽기: 평가와 변이의 원인
&nbsp;&nbsp;1) 단어 읽기의 의미
&nbsp;&nbsp;2)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 관련 요인: 빈도와 습득 연령
&nbsp;&nbsp;3)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 하위 요인: 규칙성, 일관성, 형태론
&nbsp;&nbsp;4) 단어 재인에 대한 문맥의 영향
&nbsp;&nbsp;5) 요약
2. 능숙한 단어 재인 모델
&nbsp;&nbsp;1) 이중경로 연쇄 모델
&nbsp;&nbsp;2) 삼중 모델: 읽기의 연결주의 모델
&nbsp;&nbsp;3) 두 모델 비교
&nbsp;&nbsp;4) 요약
○ 핵심 요약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font color=#F2CE00><b>제3장 능숙한 읽기이해자</b></font>
1. 우리가 잊는 것과 기억하는 것은 무엇인가
&nbsp;&nbsp;1) 우리는 무엇을 잊는가
&nbsp;&nbsp;2) 우리는 무엇을 기억하는가
&nbsp;&nbsp;3) 요약
2. 국소적 응집성과 전반적 응집성
&nbsp;&nbsp;1) 결속 장치: 대용어와 절간 접속사
&nbsp;&nbsp;2) 추론
&nbsp;&nbsp;3) 배경지식
&nbsp;&nbsp;4) 요약
3. 텍스트 표상 모델
&nbsp;&nbsp;1) 표상의 특성
&nbsp;&nbsp;2) 언어 입력의 역할
&nbsp;&nbsp;3) 처리 과정의 순환
&nbsp;&nbsp;4) 텍스트 언어를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과정과 메커니즘은 구체적인가
&nbsp;&nbsp;5) 요약
○ 핵심 요약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font color=#F2CE00><b>제4장 단어 읽기 학습</b></font>
1. 단어를 읽는 방법
&nbsp;&nbsp;1) 일견 단어 읽기
&nbsp;&nbsp;2) 음운론적 재부호화
&nbsp;&nbsp;3) 유추해서 읽기
&nbsp;&nbsp;4) 문맥을 통한 예측
&nbsp;&nbsp;5) 요약
2. 단어 읽기발달을 돕는 기술과 지식
&nbsp;&nbsp;1) 인쇄물 인식
&nbsp;&nbsp;2) 문자 지식의 중요성
&nbsp;&nbsp;3) 음운처리 능력
&nbsp;&nbsp;4) 형태론적 지식
&nbsp;&nbsp;5) 요약
3. 단어 읽기발달 단계
&nbsp;&nbsp;1) 알파벳 전 단계
&nbsp;&nbsp;2) 부분적 알파벳 단계
&nbsp;&nbsp;3) 완전 알파벳 단계
&nbsp;&nbsp;4) 통합 알파벳 단계
&nbsp;&nbsp;5) 요약
4. 읽기발달을 주도하는 것은 무엇인가
&nbsp;&nbsp;1) 음운인식이 단어 읽기의 전제조건 또는 촉진자라는 근거
&nbsp;&nbsp;2) 음운인식이 읽기 학습의 결과라는 근거
&nbsp;&nbsp;3) 요약
○ 핵심 요약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font color=#F2CE00><b>제5장 읽기이해 발달</b></font>
1. 단어 읽기, 듣기이해, 읽기이해 간의 관계
&nbsp;&nbsp;1) 단어 읽기와 읽기이해
&nbsp;&nbsp;2) 읽기이해와 듣기이해
&nbsp;&nbsp;3) 요약
2. 읽기이해를 지원하는 기술과 지식
&nbsp;&nbsp;1) 단어
&nbsp;&nbsp;2) 문장 이해
&nbsp;&nbsp;3) 담화 기술
&nbsp;&nbsp;4) 요약
3. 읽기이해 발달
&nbsp;&nbsp;1) 종단 연구를 통한 증거: 어떤 기술이 읽기이해 발달을 예측하는가
&nbsp;&nbsp;2) 상호 관계의 증거
&nbsp;&nbsp;3) 요약
○ 핵심 요약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font color=#F2CE00><b>제6장 발달성 난독증</b></font>
1. 발달성 난독증: 정의와 특성
&nbsp;&nbsp;1) 발달성 난독증: 정의
&nbsp;&nbsp;2) 발달성 난독증: 특성
&nbsp;&nbsp;3) 요약
2. 난독증 이론
&nbsp;&nbsp;1) 언어기반 설명: 음운 결함 이론
&nbsp;&nbsp;2) 발달성 난독증의 감각 이론
&nbsp;&nbsp;3) 요약
3. 하위 유형에 대한 고찰: 모든 난독증 아동이 동일한가 아니면 다양한 유형의 난독증이 존재하는가
&nbsp;&nbsp;1) 단일결함 대 이중결함 난독증
&nbsp;&nbsp;2) 표면 대 음운 난독증
&nbsp;&nbsp;3) 요약
4. 전생애에 걸친 난독증: 전조증상, 보상 및 결과
&nbsp;&nbsp;1) 전조증상 확인: 가족력 연구
&nbsp;&nbsp;2) 전생애에 걸친 난독증: 보상의 증거
&nbsp;&nbsp;3) 난독증의 결과: 매튜 효과
&nbsp;&nbsp;4) 요약
○ 핵심 요약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font color=#F2CE00><b>제7장 읽기이해 어려움</b></font>
1. 읽기이해 어려움이란 무엇인가
&nbsp;&nbsp;1) 읽기이해 어려움 혹은 구어이해 어려움
&nbsp;&nbsp;2) 텍스트 이해의 실패: 문제는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nbsp;&nbsp;3) 요약
2. 담화 이해 실패의 요인
&nbsp;&nbsp;1) 담화 이해의 기초: 단어와 문장 이해
&nbsp;&nbsp;2) 내용 통합하기: 텍스트 의미 표상 구성하기
&nbsp;&nbsp;3) 요약
3. 담화 이해 실패의 원인
&nbsp;&nbsp;1) 인과 관계: 연구 설계 문제
&nbsp;&nbsp;2) 인과 관계: 증거
&nbsp;&nbsp;3) 요약
4. 담화 이해 부진의 결과
&nbsp;&nbsp;1) 한 번 읽기이해 부진 독자가 되면 계속적으로 읽기이해 부진 독자인가
&nbsp;&nbsp;2) 이해 결함에 대한 광범위한 함의
&nbsp;&nbsp;3) 요약
○ 핵심 요약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font color=#F2CE00><b>제8장 교육과 중재</b></font>
1. 단어 읽기 교육과 중재
&nbsp;&nbsp;1) 단어 읽기를 지원하는 기술과 지식에 관한 교육
&nbsp;&nbsp;2) 단어 읽기 방법에 대한 교육
&nbsp;&nbsp;3) 요약
2. 읽기이해 교육과 중재
&nbsp;&nbsp;1) 특정 담화 이해 기술과 지식 중재
&nbsp;&nbsp;2) 일반적인 읽기이해 전략 교육
&nbsp;&nbsp;3) 요약
3. 읽기발달 지원과 교육
&nbsp;&nbsp;1) 공식적 교육: 읽기 교육에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nbsp;&nbsp;2) 비공식적 교육: 가정에서 언어와 문해력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
&nbsp;&nbsp;3) 요약
○ 핵심 요약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font color=#F2CE00><b>제9장 읽기 평가</b></font>
1. 평가에서 중요한 문제
&nbsp;&nbsp;1) 평가의 목적
&nbsp;&nbsp;2) 신뢰도와 타당도
&nbsp;&nbsp;3) 요약
2. 단어 읽기 평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평가하는가
&nbsp;&nbsp;1) 단어 읽기의 어떤 측면을 평가해야 하는가: 단어, 비단어 및 유창성
&nbsp;&nbsp;2) 언제 단어 읽기와 그 전조를 평가할 수 있는가
&nbsp;&nbsp;3) 단어 읽기는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nbsp;&nbsp;4) 단어 읽기 평가와 관련된 타당도 문제
&nbsp;&nbsp;5) 요약
3. 읽기이해 평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평가하는가
&nbsp;&nbsp;1) 읽기이해의 어떤 측면을 평가해야 하는가
&nbsp;&nbsp;2) 언제 읽기이해와 그 전조를 평가할 수 있는가
&nbsp;&nbsp;3) 읽기이해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nbsp;&nbsp;4) 읽기이해 평가의 타당도
&nbsp;&nbsp;5) 요약
○ 핵심 요약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font color=#F2CE00><b>제10장 읽기의 단순 관점: 읽기발달 및 읽기장애 연구를 위한 틀</b></font>
1. 읽기의 단순 관점: 개요
2. 읽기의 단순 관점과 읽기발달
&nbsp;&nbsp;1) 능숙한 읽기
&nbsp;&nbsp;2) 읽기발달: 기초 기술
&nbsp;&nbsp;3) 읽기 단순 관점과 읽기발달
3. 읽기의 단순 관점과 읽기장애
4. 읽기의 단순 관점: 평가
5. 읽기발달과 읽기장애: 임상적 시사점
○ 결론
○ 추가 읽기자료
○ 용어 정의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알림

X

알림

X

도서목록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