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리즈 발간사
머리말
제1부 이해하기
연극치료와 놀이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제1장 놀이의 힘
1. 어릴 적 즐거움
2. <오징어 게임> 속 놀이
1) 혼자 놀기
2) 둘이 놀기
3) 여럿이 놀기
3. 세 범주의 놀이
1) 일상 속 놀이
2) 상상 속 놀이
3) 예술 속 놀이
제2장 연극의 힘
1. 예술로서의 연극, 그리고 치료
1) 연극 예술의 특성
2) 치료 현장으로서의 극장
3) 예술로 보는 치료
제2부 만나기
놀이는 어떻게 연극치료와 만날까
제3장 연극치료사, 참 만남의 주체
1. 잘 볼 줄 아는 연극치료사
2. 잘 놀 줄 아는 연극치료사
제4장 놀이 중심 연극치료의 흐름
1. 5단계 통합모델
2. 발달변형모델: 불안정한 삶의 회복을 위한 4단계 놀이
1) 존재의 불안정함
2) 놀이공간과 4단계 놀이
제5장 연극치료 작업 속 네 가지 형태의 놀이
1. 모방 놀이
1) 불안장애 성인: 투명인간이고 싶은 나
2) 문제행동 청소년: 왜곡된 동일시와 공감
2. 투사 놀이
1) 재활병원 여성 입원 환자 집단: 그리운 예전의 내 모습
2) 재활병원 남성 입원 환자 집단: 마주하고 싶지 않은 현실
3. 표현 놀이
1) 뇌졸중 어르신: 어린아이와 공존하는 현자
2) 휠체어를 탄 예술가: 남모르는 불안과 미안함
4. 변신 놀이
1) 결혼 후 첫사랑을 잃어버린 부부: 영원한 평행선
2) 세상에서 숨고 싶은 소녀: 무력감의 끝판왕
제3부 경험하기
연극치료를 놀이로 경험해 보자
제6장 첫째야 자장자장 둘째야 자장자장
1. 1회기: 모방 놀이
2. 2회기: 투사 놀이
3. 3회기: 표현 놀이
4. 4회기: 변신 놀이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