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장애 탐구
언어장애, 난독증, 난산ㆍ수학장애, ADHD, 자폐성장애, 지적장애 진단과 중재
저자 : Bruce F. Pennington, Lauren M. McGrath, Robin L. Peterson | 역자 : 김동일
페이지 : 52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8,000원
  • 978-89-997-3031-3 93370
  • 2024-01-15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2부 총 14장과 결론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학습 장애‘군(群)’에 대한 과학적 토대로서 학습 장애 발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네 개의 분석 수준, ① 병인론, ② 뇌 메커니즘, ③ 신경심리학, ④ 증상을 적용한 다층 프레임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프레임은 학습 장애에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 다양한 행동장애 영역에서 타당하게 적용된다. 저자는 다학제 접근을 지지하면서 ‘의학적 모델’로 학습 장애 발현과 발달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제2부는 학습 장애‘군(群)’, 즉 ‘학습의 장애’로서 대표적인 6개 장애 영역, 언어장애(LI), 난독증(dyslexia: 읽기장애), 수학장애(M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지적장애(ID)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간략한 역사, 정의, 출현율, 원인론, 신경심리학적 배경, 뇌 메커니즘, 진단과 처치를 포함하여 각 장애 영역의 과학과 실천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font color=336600><b>제1부 과학적 토대</b></font>

<font color=660099><b>제1장 다양한 학습 장애는 어떻게 발생하고 나타나는가</b></font>
학습 장애군 정의하기
명시적 기억과 암묵적 기억
발달상의 이질적 연속성
다수준 프레임
다중 결손 모델
공존장애로부터의 통찰

<font color=660099><b>제2장 학습 장애의 병인론</b></font>
행동 유전학
ACE 모델 이후 설명: 유전-환경 상호작용
분자 유전학
누락된 유전가능성?

<font color=660099><b>제3장 학습 장애 뇌 메커니즘</b></font>
연결성 분석
뇌-행동 발달의 세 가지 모델
뇌와 인지 발달의 통합

<font color=660099><b>제4장 신경심리 구인</b></font>
학습 장애에서 초기 학습의 손상이란 무엇인가
심리측정학적 인지 구인
학습 장애군의 일반 대 특수 인지 결손
g는 무엇인가
인지 신경과학 구인
신경심리학을 넘어서

<font color=660099><b>제5장 공존장애</b></font>
발달 신경심리학
병인학

<font color=660099><b>제6장 특정학습장애: DSM-5 이후</b></font>

<font color=660099><b>제7장 평가에서의 증거 기반 실제</b></font>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접근
발달사
관찰
검사 결과
난제와 혼란

<font color=660099><b>제8장 성취 격차</b></font>
개인 차 대 집단 차
집단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틀
국가 간 차이: 국가 간 부의 차이
성별 차이
사회경제적 지위와 인종 차이
성취 격차에 대한 강력한 증거
성취 격차는 왜 나타나는가
정책적 함의

<font color=336600><b>제2부 장애 영역별 이론</b></font>

<font color=660099><b>제9장 말ㆍ언어 장애</b></font>
요약
역사
정의
유병률과 병인론
발달 신경심리학
뇌 메커니즘
병인론
진단과 치료

<font color=660099><b>제10장 읽기장애(난독증)</b></font>
요약
역사
정의
유병률과 병인론
발달 신경심리학
뇌 메커니즘
병인론
진단과 치료

<font color=660099><b>제11장 수학장애(난산증)</b></font>
요약
역사
정의
유병률과 역학
발달 신경심리학
뇌 메커니즘
병인론
진단과 치료

<font color=660099><b>제12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b></font>
요약
역사
정의
유병률과 역학
발달 신경심리학
뇌 메커니즘
병인론
진단과 치료

<font color=660099><b>제13장 자폐스펙트럼장애</b></font>
요약
역사
정의
유병률과 역학
발달 신경심리학
뇌 메커니즘
병인론
진단과 치료

<font color=660099><b>제14장 지적장애</b></font>
요약
역사
정의
유병률과 역학
병인론
진단과 치료

<font color=660099><b>결론</b></font>
다층 프레임(모델)의 타당성
각 분석 수준에서의 미래 발전 방향
과학에서 최고의 실천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림

X

알림

X

도서목록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