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이론적 접근과 실제적 접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고자 노력하였다. 개정 작업을 통해 각 장에서 공통적으로 진행된 내용은 보완된 설명의 추가, 문맥의 수정, 내용의 풍부화 작업 등이었다. 제1장을 중심으로 최근 달라진 법과 정책 및 제도를 반영 하였으며, 제4장, 제10장을 비롯한 모든 장에서 새로운 연구 결과와 관련 문헌을 추가하면서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특히 제2장에서는 표준화 검사의 검사 도구 중 개정된 내용을 반영하여 수정하였고, 현장에서 빈번하게 사용하지 않는 검사 도구는 삭제하였으며, 대근육운동 기능 분류 체계, 국립특수교육원 기초학습능력검사(NISE-B·ACT), 국립특수교육원 적응행동검사(NISE-K·ABS) 등을 추가하였다. 또한 중도·중복장애아동을 위하여 개발된 ‘반다이크 평가’ 내용을 보강하기 위해 검사 문항을 추가하였다. 제3장에서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 관련하여 변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수정·보완하였다.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을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교체 하였으며, 그중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의 자율성 확대 방안으로서 일상생활 활동 영역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였다.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는 기본 교육과정을 중등도 및 중도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으로 정체성을 규정하면서, 학생의 장애 특성 및 요구 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기본 교육과정에 일상생활 활동 영역을 추가로 편성하였다. 이러한 방향과 변화를 반영하여 관련 문헌, 정 책과 지침을 추가하여 살펴보면서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제5장은 음운인식, 단어인지, 어휘 등 문해력 교수와 관련한 내용을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특성을 좀 더 반영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고, 수학 교수의 수, 돈 계산하기 등에서 제시되는 개념들을 명료화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제6장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을 위해 현장에서도 새롭게 자리 잡은 몸짓 상징 손담을 손짓기호라는 용어로 정착하면서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한 소개를 하였다. 제7장에서는 최근의 기술 동향을 반영하여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증강현실, 모바일 기반 교수 등 교육공학 접근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지원하고자 하였다. 제8장에서는 최근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생활기능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일상생활 기술의 진단과 계획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보완하였다. 또한 위루관을 이용한 식사지도, 위루관 식사 중 문제와 응급상황 조치 방법 등 교육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에 관한 내용을 보완하였다. 제9장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최근 동향에 맞추어 기능적 기술과 지역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내용(SNS, 자판기, 키오스크 등)을 추가하였다. 이를 위한 교수전략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제11장은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였고, 최근 특수교육 현장의 동향을 반영하였다. 제12장에서는 성인기 전환과 관련된 최근의 정책적 변화 및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반영 하여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탈시설화 및 지역사회 거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성인기 전환의 중요한 성과 지표 중 한 가지인 ‘독립’을 관련 정책과 지침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자립’으로 수정하였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른 기술 동향과 활용 근거들을 추가하여 보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