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앞서 출간된 『현대 교육과정학』이 출간된 이후 선학과 동료 및 학생분들의 지적해 주시는 내용을 이 책에서 보완하였다. 개정판에서는 책의 제목, 전체적인 구조와 내용을 손봤다. 첫째,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와 그에 따른 교육과정 수립 및 변경의 방식이 변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도적 구조와 과정을 고려해 책의 제목을 변경하였다. 앞으로 연구의 진전 상황에 따라 제기되는 사항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보완·개정하고자 한다.
둘째, 책의 전체적인 구조에서 제도적인 측면을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과정의 한 부분으로 넣지 않고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의 전반적 사항에 관련되는 방식으로 순환론의 외부에 위치시켰다. 최근 교육과정을 수립·변경하는 과정이 법의 개정과 동시에 이루어지고, 개발과 운영의 제반 측면에서 법과 제도가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셋째, 교육과정의 설계를 교육과정 개발의 바로 뒤에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설계는 국가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지역 및 학교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관계되므로 학교 교육과정 개발 이후에 위치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 설계는 교육과정 개발 이전에 이루어지므로 국가 교육과정의 범주에서 기본 틀이 형성된다는 점 그리고 학교에서 자율의 부여가 국가 교육과정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가 교육과정에 기본적으로 초점을 두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절차상 교육과정 설계가 우선이지만 교육과정 개발 이후에 배치한 것은, 개발의 외형적 틀을 이해한 이후에 그에 대한 사항을 제시하는 것이 독자의 이해에 용이하리라는 판단에서였다.
넷째, 서론과 결론을 추가하였다. 이제까지 교육과정을 만들 때, 사회적 합의나 제도적 지원에 대한 사항의 고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래서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서론에 제시하고, 결론에서는 이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문제 및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보다 강화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국가교육위원회에 대한 내용은 제한적으로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개정 체제가 새로이 재편된 직후이고, 이 책을 출간하기까지 국가교육위원회가 교육과정을 공식적으로 수립·변경한 경험이 없는 관계로, 구조상의 변화에만 최소한의 수정과 보완을 하는 방향을 선택하였다.
여섯째, 교육과정 개발 후속지원으로 교과서 제도와 교원 연수 부분을 보완하였다. 2023년 6월 8일 「AI 디지털 교과서 추진방안」의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연수는 교육과정 보급 단계와 적용 단계로 구분하여 체계화하였다.
일곱째, 교육과정 운영은 실제 수업의 과정을 내용으로 개관함으로써 교육과정 실천의 의미를 살리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평가는 평가의 성격과 관점을 정리하고,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단계 및 협의의 질 관리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도 이해 위주로 수정·보완하였다. 그러면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새로이 추가하여 의의, 질 관리 대상 및 방법을 설명하였다.
여덟째, 교육과정의 법과 행정이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는 의견에 따라 개관하는 방향으로 기술하였다. 법적인 부분은 교육과정과 법의 관계,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및 평가의 단계별로 법 규정에 대한 내용을 개관하였다. 행정 부분은 교육과정 중심의 행정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기 위한 내용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