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은 언어적 상담의 한계를 보완해 주고 내담자의 무의식을 드러내 주기 때문에 치료 작업에서 대단히 활용 가치가 높다. 이 책은 심층심리학, 가족체계이론, 트라우마 가족치료 이론 등을 바탕으로 집필한 것이다. 심층심리학의 무의식과 상징 개념, 가족체계이론의 체계적 사고, 트라우마 가족치료의 가족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형치료가 무엇이며, 어떻게 인형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3판 머리말 1판 머리말 <font color=0099CC><b>Chapter 01 상징체계로서의 인형치료</b></font> 1. 인간과 상징 2. 무의식을 표현하는 상징체계로서의 동물인형 3. 인형치료에서의 상징체계 단계 <font color=0099CC><b>Chapter 02 인형치료의 치료적인 특징</b></font> 1. 트라우마에 대한 인형의 치료적 가능성 2. 매체 도구로서의 인형치료의 이점 3. 인형치료의 진단과 평가의 기능 4. 소통의 도구로서 인형치료의 기능 5. 인형치료의 활동 영역 <font color=0099CC><b>Chapter 03 인형치료의 주요 개념</b></font> 1. 가족체계이론 2. 트라우마 가족치료 3. 심층심리학 4. 현상학 <font color=0099CC><b>Chapter 04 인형치료의 치료적 전제</b></font> 1. 인형치료의 치료적 목표 2. 인형치료의 치료적 개입 3. 인형치료에서 치료적 개입의 도구로서의 가족인형 4. 인형을 통해 표현되는 대표적인 관계의 유형 <font color=0099CC><b>Chapter 05 인형치료의 주요한 상징적 도구</b></font> 1. 손 2. 치료 공간 3. 피규어의 종류 <font color=0099CC><b>Chapter 06 인형치료 사례</b></font> 사례 1. 아내 눈치를 보는 것이 힘들어요 사례 2. 엄마처럼 될까 봐 두려워요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