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ont color= 663300><b>제1장 평생학습 탐구하기</b></font>
· 평생학습이라는 사회 현상
· 전경화되는 학습들
· 평생학습의 자기경계와 성격
· 학습생태계라는 모형
· 학습체계와 활동 체계들의 네트워크
· 이론 연구의 필요성
<font color= 663300><b>제2장 평행학습이라는 큰 글자</b></font>
· 평생학습이라는 큰 글자
· 사회적 학습 양식으로서의 평생학습
· 학습의 탈주와 평생학습 플랫폼의 출현
· 유네스코가 부여한 이미지
· 평생교육학: 큰 글자를 읽는 연구
· 포스트-평생학습의 관점
· 학습과학으로서의 평생학습이론
<font color= 663300><b>제3장 형식화의 시간: 학교교육이 창조한 형식학습의 세계</b></font>
· 포스트-근대 학교와 평생학습
· 교육과 근대 학교의 창발
· 학교 체계의 특성
· 학습의 표준화, 조직화, 인정화
· 형식학습의 물신성
· 형식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 학교화되어 가는 사회
<font color= 663300><b>제4장 탈영토화의 시간: 평생교육의 초형식성과 탈경계화</b></font>
· 평생교육개념의 탄생
· 『포르 보고서』의 위상
· 교육의 목적과 발전의 의미 재규정
· 탈체계화, 초형식주의, 학습사회
· 학교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 21개의 구체적 정책 개혁안
· 보고서의 의의
<font color= 663300><b>제5장 재영토화의 시간: 평생학습의 체계화와 이형성</b></font>
· 신자유주의가 지나간 자리
· 『들로르 보고서』와 ‘평생에 걸친 학습’ 담론
· 유럽의 평생학습 컨센서스
· 동아시아 국가-시민사회의 재편과 평생학습
· 생성적 이형성에서 탈중심화적 체계화로: ‘평생학습체계’의 등장
<font color= 663300><b>제6장 평생학습체계의 존재론</b></font>
· 평생학습체계-학습의 탈주
· 결정론과 환원주의 극복
· 무엇이 체계를 재생산하게 하는가
· 무엇이 체계를 변형의 길로 이끄는가
· 평생학습체계의 존재론
<font color= 663300><b>제7장 팽창하는 학습생태계와 산업 5.0</b></font>
· 팽창하는 평생학습생태계의 양상
· 평생학습 개념 생태계의 확장
· 포스트 휴머니즘적 사고
· 인간-비인간의 결합: 산업 5.0으로
· 평생학습에서 포스트-평생학습으로
<font color= 663300><b>제8장 지금의 평생학습담론을 넘어서</b></font>
· 지구, 인간, 학습
· 형식학습 중심 교육학의 틀 깨기
· 동일성의 복제를 넘어서
· 잉게이징 마인드
· 전층위학습(Lifedeep learning)
· 복잡 체계 학습의 중층 체계성
· 한 가지 사례
<font color= 663300><b>제9장 학습하는 체계들의 사회</b></font>
· 학습사회라는 말
· 학습사회 담론의 역사적 궤적
· 학습하는 체계들: 사례
· 학습체계를 보는 관점
· 학습사회의 다층성과 전층위학습
· 학습사회와 집단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