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기존의 코칭심리학이 심리학 시각에서 코칭을 보았다면, 이 책은 코칭 시각에서 현장중심으로 코칭심리학을 바라본다. 코칭심리학에 포함된 대표적인 12가지 이론을 선정하고 각 이론을 구성하는 프레임 워크를 코칭 시각에서 분석하면 코칭에 접근하는 공통 프레임워크를 찾을 수 있다. 또 코칭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과 심리기제를 규명할 수 있다. 이에 저자는 각 이론의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개념들의 의미적 유사성과 상호 연계성이 높은 것을 동일 범주로 분류했다. 이러한 범주화 기법의 분석 결과, 시스템적 관점 전환, 자기주도적 학습과 성장, 결과 지향적 행동변화의 속성을 도출하였다. 이 책은 도출된 코칭 프레임워크(코치가 사용하는 논리적 접근의 기초가 되고 창의적으로 코칭방법과 절차, 코칭 도구와 기법, 평가를 선정하고 활용하는 기준)의 3가지 요소와 10가지 코칭 원리를 코칭 현장에서 활용하도록 알리기 위한 것이다. 또한 코칭심리학을 전공하거나 전공하지 않은 독자가 이론 중심이 아닌 현장중심으로 코칭심리학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총 3부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의 제목은 코칭 원리를 제시하였다. 제1부는 시스템적 관점 전환의 코칭 원리로, 제1장은 게슈탈트 이론의 전체관을 바탕으로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본다’는 코칭 원리와 코칭적 활용을 제시한다. 제2장은 인지행동적 접근과 관점을 분석해 ‘생각과 느낌, 행동을 통합적으로 본다’는 코칭 원리와 코칭 포인트를 제시한다. 제3장은 우리의 선택과 기대하는 삶이 연계되는 관점에 대한 선택이론을 토대로 ‘지금의 선택이 삶을 결정한다’는 코칭 원리와 코칭적 활용을 소개한다. 제2부는 자기주도적 학습과 성장이 작동하는 코칭 원리로, 제4장은 긍정심리학의 시각에서 ‘잠재성을 끌어내어 발휘한다’는 코칭 원리를 제시한다. 제5장의 ‘더 나은 내가 되는 삶을 산다’는 아들러의 인간관을 인본주의 심리학 측면에서 본 코칭 원리이다. 제6장 해결 중심 단기치료의 핵심 개념인 ‘문제 중심보다 해결 중심으로 대화한다’는 코칭 대화의 기본 원리이다. 제7장 ‘경험과 성찰로 삶을 주도한다’는 성인의 학습과 성장에 내포된 코칭 원리이다. 제3부는 결과 지향적 행동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코칭 원리로, 제8장은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조직학습론의 프레임워크를 탐구하였다. ‘존재방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한다’는 원하는 결과를 얻는 존재방식의 변화를 촉진하는 코칭 원리이다. 제9장 ‘변화의도를 키워 변화를 주도한다’는 변화의도와 실행을 연계시켜 행동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코칭 원리이다. 마지막 제10장은 조직행동과 자기방어 기제 이론에 담긴 공통 개념으로 ‘변화저항을 변화동기로 바꾼다’는 코칭 원리를 제시하였다. 또 행동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루는 전략과 스킬, 코칭 도구를 소개하였다. 각 장에는 공통적으로 코칭 원리와 관련된 코칭 사례를 소개하였다. 사례는 실제이며 등장인물의 익명성과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가명과 내용의 일부를 수정했다. 각 장의 말미에는 ‘코칭심리 탐구질문’ 6개를 제시해 각 장에서 중요한 내용을 다시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