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서문
<font color=00CCFF><b>제1장 내러티브 자문으로</b></font>
1. 내러티브 의학에서 내러티브 자문으로
2. ‘내러티브적으로’ 이끄는 자문이란
3. 반영 과정과 공명
<font color=00CCFF>제2장 글쓰기 작업과 다성화</b></font>
1. 글쓰기 작업: 표현/다시 제시하기라는 윤리
2. 반영 과정에서 글쓰기 작업
<font color=00CCFF>제3장 병렬차트 재방문</b></font>
1. 병렬차트는 무엇인가
2. 의료기록에 쓸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3. ‘어딘가에 쓰일 필요가 있는 것’은 무엇인가
4. 글을 써 가면서 발견한다
5. ‘병렬’이란 무엇과 무엇이 병행하는 것인가
6. 병렬차트는 어디서 공유할 수 있을까
<font color=00CCFF>제4장 반영 과정의 재방문</b></font>
1. 글쓰기 작업에 의한 반영
2. 좋은 반영이란
3. 엇갈리는 반영
<font color=00CCFF>제5장 퇴고와 자문화기술지</b></font>
1. 매니큐어의 선물
2. 퇴고라는 또 하나의 반영 과정
3. 자문화기술지로서 병렬차트
<font color=00CCFF>제6장 이미지의 전달</b></font>
1. 은혜 갚은 장어
2. 병렬차트에서의 이미지
3. 병렬차트를 다시 읽기
4. 산문과 시: 탈구축을 대신하여
<font color=00CCFF>제7장 섬망의 활용</b></font>
1. 죽은 적도 없는 주제에
2. 홈런과 푸른 하늘
3. 연작시, 섬망, 올리버 색스
4. 고작해야 섬망, 그렇기는 하지만 섬망: 탈구축을 대신하여
<font color=00CCFF>제8장 꿈의 활용</b></font>
1. 히로시마 헌신
2. K 선생으로부터의 답신
3. 반영에 대한 반영
4. R으로부터의 답신
5. R에게의 답신
<font color=00CCFF>제9장 마치 ~인 듯 사례회의</b></font>
1. 마치 ~인 듯 사례회의의 단계
2. 마치 ~인 듯 사례회의 2단계
3. 마치 ~인 듯 사례회의 3단계
4. 마치 ~인 듯 사례회의 4단계
5. 계속적인 반영
6. 외부인증자
<font color=00CCFF>제10장 워크숍 1: 첫 번째 자문</b></font>
1. 첫 번째 자문: 워크숍 당일
2. 내러티브 자문, 그 후: 일 년 후의 반영
<font color=00CCFF>제11장 워크숍 2: 협력적 글쓰기 작업</b></font>
1. 협력적 글쓰기 작업에 도전하다
2. 또다시, 글쓰기 작업이 탐구라는 사실
<font color=00CCFF>제12장 존 윈슬레이드와 로레인 헤트케</b></font>
1. 존 윈슬레이드의 비애
2. 로레인 헤트케의 비애
3. 화이트, 들뢰즈, 아이온
4. 활주로를 더듬어 찾다
<font color=00CCFF>제13장 페기 펜과 톰 안데르센</b></font>
1. 페기 펜이라는 인물
2. 안데르센에서 펜으로
3. 펜에서 안데르센으로
4. 펜과 안데르센
5. 시인 페기 펜
<font color=00CCFF>제14장 텍스트, 내러티브, 임상: 또다시 ‘글쓰기 작업’을 둘러싸고</b></font>
1. 비유로서의 에크리튀르
2. 내러티브라는 텍스트를 읽는다
3. 또다시, 글쓰기 작업
4. 내러티브의 부력: 다중(多重)으로 또는 시처럼
<font color=00CCFF>제15장 표층영성</b></font>
1. 체호프의 재발견
2. 표층영성
3. 심리치료를 받은 기분
마치면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