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연표
<font color=993333><b>서양교육철학사(시리즈) 소개</b></font>
중단되지 않는 대화
새로운 정전(正典)
당대 교육철학의 역사적 기원
역동적이고 비판적인 전통
철학의 두 전통
다섯 권의 저서와 장들을 가로지르는 주제들
결론: 이 책 시리즈에 대한 개략적 소개
선별적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서론 투쟁, 저항 그리고 기회: 근대 교육에 관한 역사적, 철학적 관점</b></font>
교육철학: 몇 가지 근원
이 책의 내용 개괄
미주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제1장 존 듀이의 민주주의 교육철학</b></font>
서론
전기 저작에서 민주주의와 교육
중기 저작에서 민주주의와 교육
결론
미주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제2장 현상학, 해석학 그리고 교육</b></font>
서론
살아 있는 경험과 사회과학: 딜타이와 후설의 딜레마
이해의 역사성: 하이데거와 가다머
철학으로부터의 학습: 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
결론
미주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제3장 교육에서 윤리적 관계성: 마틴 부버, 엠마누엘 레비나스 그리고 넬 나딩스</b></font>
서론
부버의 대화 철학
레비나스, 타자 그리고 급진적 윤리학
관계 윤리, 넬 나딩스 그리고 현대적 전망
관계 철학과 교육
결론
미주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제4장 정신분석학과 교육</b></font>
인간 사유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견해: 삶의 문제
해석의 새로움에 대하여: ‘그때와 지금’
프로이트: 쾌락과 현실에 대하여, 그리고 불행과 문화에 대하여
안나 프로이트: 자아, 불안 그리고 방어기제
멜라니 클라인: 대상관계, 보상 그리고 감사함
윌프레드 비온: 사유가를 기다리는 생각들
D. W. 위니컷: 인간으로서 아기
마음의 유아기 뿌리를 위한 철학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제5장 19세기 미국 교육의 철학적 환경: 관념주의에서 실용주의로</b></font>
서론
초기 철학과 미국 교육사상
실용주의의 전제, 1867~1895
실용주의 교육철학을 향하여
결론
미주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제6장 교육철학과 유아기: 마리아 몬테소리와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기로의 초대와 자극</b></font>
근대의 유아기
몬테소리 방법
초대
몬테소리와 오늘날의 교육철학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
자극
창조
레지오와 오늘날의 교육철학
결론: 초대, 자극 그리고 방향 전환
미주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제7장 인종, 정의, 교육의 철학: 몸이 겪은 지식의 전통</b></font>
자유의 신세계에서의 교육
새로운 니그로
새로운 세계의 시민권
요구: 인간 형성을 향한 교육
미주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제8장 비판이론과 교육</b></font>
서론
마르크스의 실천 철학과 소외 문제
물화의 운명: 프랑크푸르트 학파와의 만남
비판이론의 한계: 물화의 경험, 그 한계에 대하여
결론: ‘기본적 교육 개념’으로서 비판
미주
참고문헌
<font color=993333><b>제9장 교육과 언어적 전회</b></font>
언어와 의사소통
원자적 사실들
비트겐슈타인, 학교에 가다
언어 안으로 들어서기
현상학과 사물을 알게 된다는 것
언어와 존재의 집
기호의 물질성
주관성, 객관성, 지식 그리고 가치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