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사회학적 이해(6판)
(강의용PPT)
저자 : 김천기 | 역자 :
페이지 : 35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1,000원
  • 978-89-997-2861-7 93370
  • 2023-03-10
  • 4x6배판
  • 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

내용

  학교현장의 많은 교사는 교육사회학 공부를 통해서 제자리에만 머물렀던 자신이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었고,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시각을 고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말한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교육문제에 대해 다양한 비판적 시각을 갖게 되었고, 어떤 이유로 현재의 교육적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이해하게 되었다고 한다. 교직생활에 고민이 많은 교사에게 교육사회학 공부가 조금이나마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에 교육사회학자로서 보람을 느낀다.  2023년 새해, 새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지난 5판 개정에 이어 충분히 다루지 못한 내용을 더욱 보완하였고, 한국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최신 자료로 업데이트하였다. 여전히 미완의 느낌이 남아 있지만, 독자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장을 다듬고 내용의 부족함을 채우게 되어 마음이 한결 가볍다.

목차

6판 머리말

<font color=339900><b>제1장 현실교육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b></font>

<font color=339900><b>제2장 사회화의 선발</b></font>
1. 기능주의
2. 사회화
3. 선발
4. 기능주의의 퇴조와 신기능주의의 부상

<font color=339900><b>제3장 불평등 재생산</b></font>
1. 갈등이론
2. 마르크스적 재생산 이론
3. 재생산 이론 평가
4. 사회 영역-사회적 행동 이론: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갈등 탐색

<font color=339900><b>제4장 능력의 사회적 구성</b></font>
1. 능력과 IQ
2. 학교에서의 능력 형성
3. 학업성취의 결정요인들
4. 대학입학전형과 ‘능력’의 정의
5.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중시하는 ‘능력’

<font color=339900><b>제5장 교육의 기회균등과 교육평등</b></font>
1. 교육평등의 원리
2. 교육평등과 교육정책
3. 학업성취와 교육기회 분배의 불평등
4. 평등교육과 엘리트 교육의 대립
5. 교육평등의 원리와 고교평준화 논쟁
6. 평준화제도의 불평등성 논쟁

<font color=339900><b>제6장 사회불평등과 교육</b></font>
1. 사회불평등에 대한 관점
2. 교육과 사회이동
3. 사회이동의 개념과 명제
4. 교육의 효과에 관한 기능론적 연구
5. 교육과 사회이동에 대한 갈등론적 관점
6. 교육의 사회불평등 재생산 효과: 국내 연구
7. 사회양극화와 교육
8.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육정책

<font color=339900><b>제7장 학교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b></font>
1. 내부자적 관점
2.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3. 학생의 적응양식
4. 교사의 생존전략과 방어적 수업
5. 낙인과 상호작용
6. 학교규율과 시험

<font color=339900><b>제8장 교육과정사회학</b></font>
1. 교육과정사회학의 발전
2. 지식사회학
3. 교육과정사회학과 잠재적 교육과정
4. 문화재생산 이론
5. 학교지식과 문화적 헤게모니
6. 수준별 교육과정 논쟁

<font color=339900><b>제9장 국가, 시민사회와 교육통제</b></font>
1. 국가이론
2. 국가와 교육통제
3. 관료적 통제에서 교육거버넌스로
4. 교육의 민주화: 시민사회의 참여

<font color=339900><b>제10장 한국교육체제의 성격</b></font>
1. 교육개혁의 정치적・교육사상적 맥락
2. 새로운 교육이념의 모호성
3. 이원적 학교체제로서의 6-3-3제와 교육기회균등 이데올로기
4. 교육과정 개혁과 교육과정 트랙
5. 정치사회화를 위한 교과서 내용 통제

<font color=339900><b>제11장 신자유주의와 교육개혁</b></font>
1. 신자유주의란 무엇인가
2. 시장논리, 학교의 장에 적합한가
3. 한국 교육의 신자유주의화의 성격과 의미
4.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의 예

<font color=339900><b>제12장 공교육의 대안적 접근</b></font>
1. 낭만주의: 대안학교와 학습조직망
2. 신마르크스주의: 경제와 교육의 민주화 실현
3.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타파
4.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의 다양화와 특수성
5. 생태주의: 상생의 교육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림

X

알림

X

도서목록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