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사회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성격을 지닌다. 사회복지 관련 학문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안내자의 역할을 하기 위해 관련 시각 자료인 그림, 시사 뉴스, 통계자료 등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구성방법을 택하였다. 제1부는 사회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각종 제도와 규정의 출발점이 된 사회문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더욱이 전통적인 사회문제와는 확연히 다른 신사회적 문제 등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2부는 사회복지의 발달과정과 복지국가 및 사회복지 정책 추진 과정에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보수와 진보를 살펴보았다. 제3부는 전통적인 사회복지의 중심축인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 서비스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특히 종래의 많은 분량을 차지하던 사회복지 대상 및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피하였다. 제4부는 사회 복지 현실과 전망으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와 사회복지현장의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꿋꿋이 현장을 지키는 사회복지사와 관련된 사회복지노동조합 및 현재 사회복지의 화두인 네트워크를 추가로 다루었다. 또한 이 책에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기본적으로 한국사회복 지교육협의회가 요구하는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상의 교과목 내용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이는 사회복지학에서 배워야 할 최소한의 학습내용에 대한 개념 확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단원별로 학습개요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