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제1부는 평생교육방법의 기저가 되는 이론적 기초와 교수-학습 이론, 교수 체제로 구성하였다. 여기에는 프로그램의 기획, 구성, 조직, 실행, 평가, 환류 등의 업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이론과 체제를 담았다. 평생교육방법의 기초가 되는 각종 이론들을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므로 독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제2부는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변화된 교수-학습 방법 변화로 구성하였다. 지식정보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이에 따라 달라진 평생교육방법의 유형을 기술하고 그에 따른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자 중심의 강의법, 강연법, 질문법, 프레젠테이션 방법과 집단 중심의 교수 방법, 협동 학습, 체험 중심의 교육 등의 교육모형과 활용 방법을 통해 현장에서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 시에 학습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여 교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직무현장 중심의 평생교육방법으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개념과 분류, 현장직무교육(OJT), 직무훈련(Job instruction Training), 집합교육훈련(Off JT) 방법을 포함시켰다. 기초적 이론 및 방법의 활용은 물론이고 각각의 장단점과 운영의 예시를 제시하였으므로 평생교육방법을 활용하여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제3부는 인공지능(AI) 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평생교육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인공지능의 역사와 머신 러닝, 딥 러닝에 대해서 알아보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AIED)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빠르게 변화하는 현장의 흐름에 발맞추어 평생교육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소셜 미디어와 융합형 웹 기반 교육방법, 블렌디드 러닝, 플립드 러닝, 마이크로 러닝 등 다양한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구체적인 접근 방법과 교육 사례를 제시하였으므로 누구나 현장에서 쉽게 적용하며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제4부는 평생교육방법의 실제와 평가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평생교육 매체의 선정 방법과 현재 우리나라와 외국에서 활발하게 실천되고 있는 평생교육 사례들을 소개하고 평생교육의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더 나은 평생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