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최근 들어 정치교육 정책의제 구안과 관련 연구동향 분석은 급격한 시대적 환경 변화와 사회적 여건 변동(편향적 민족주의 기승, 전 세대 연령층 인구의 정치참여 저조, 자유시장과 복지국가의 위기, 부의 편중 현상 심화, 계급 불평등 확산, 이념적 양극화 확대 등)을 반영하여 학문공동체 연구자와 교육현장 구성원의 새로운 관심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 분야를 포함한 사회과학 영역에서 정치교육 관련 서적이나 체계적 연구물은 매우 희소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현실적 필요성을 반영하여 한국교육정치학회는 구성원의 집단지성과 협력적 노력에 근거하여 『정치교육론』을 출간하였다. 본 저서는 3부 각 5장씩 총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정치교육론의 이론적 기초이며, 제2부는 정치교육의 실천적 토대이다. 제3부는 정치교육의 과제와 전망이다. 『정치교육론』은 교육의 탈(비)정치화 신화를 비판적으로 해체하면서, 정치과학의 제반 이론과 쟁점적 시각에 근거하여 바람직한 교육정치 공동체 구축을 위한 연구 활동과 실행 전략을 모색한다.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이념논쟁, 세대갈등, 젠더충돌, 성소수자와 장애인 등에 대한 내재적 차별성 등이 고착화되어 가고 있는 작금의 한국 사회에 있어서 정치교육은 그 어느 때 보다도 더욱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정치교육을 통해서 민주주의 핵심가치 존중과 올바른 가치판단 능력제고 및 비판적 정치독해력 함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사회적 포용성 제고를 통한 개인성장과 국가의 지속발전 가능성 확보에도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