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정신병리학
통합적인 기독교적 평가(원서 2판)
저자 : Barrett W. McRay, Mark A. Yarhouse, Richard E. Butman | 역자 : 김혜정, 심은정, 조인효, 이수경
페이지 : 51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6,000원
  • 978-89-997-2716-0 93180
  • 2022-07-3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총 3개의 부로 나뉘어 있다. 제1부(제1~5장)는 ‘역사적이고 현대적인 분류’로, DSM에 기록된 주요 정신질환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제1장에서는 성경의 저자들과 역사에 기록된 목회자와 신앙인들이 영혼의 상처를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다룬다. 제2장에서는 현대 정신건강 관련 학문이 사람의 고통을 다양하게 분류한 방법을 탐색한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다면적인 성격을 가진 정신병리학의 기초들을 생물학적 배경과 사회문화적 현실로 설명한다. 제5장의 제목은 ‘죄와 정신병리학’으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정신병리학을 연구하는 데 죄를 어떻게 적용할지 분석한다. 제2부(제6~16장)는 ‘정신병리학: 심리적 문제의 분류’로, 현대 정신병리학에서 다루는 주요 정신질환을 하나씩 다룬다(예: 기분의 문제). 장마다 정해진 범주에 속한 정신적 문제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분류된 정신질환의 개관은 물론이고 그 질병의 원인, 진단과 예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고 나서 우리는 제1부의 기초적인 장들의 논의와 연결하며, 분류된 정신적 문제들을 목회 돌봄의 주제들이라는 관점과 통합적 주제들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제3부(제17장)는 ‘현재는 어떠한가’로, 기독교인 정신건강 전문가들과 목회 돌봄사 역자들에게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불완전한 정신질환 분류체계에 대한 시야를 열어 주고 싶은 희망을 담는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font color=66CCCC><b>제1부 역사적이고 현대적인 분류</b></font>

제1장 목회적 돌봄 역사의 분류
1. 성경적 기초
2. 교회의 문헌
3. 현대의 목회 돌봄

제2장 현대 정신건강의 분류
1. 질병분류학: 분류 과학
2. 정신건강 분류의 역사
3. 현대적 분류법
4. 현대적 분류에 대한 이론적 관점
5. 현대적 분류에 나타난 병인
6. 현대적 분류에서 DSM의 가치
7. 현대적 분류 체계의 한계
8. 추가적인 고려 사항

제3장 정신질환의 생물학적 기초
1. 다시 보는 심리사회적 모델
2. 영적 모델에 대한 한마디
3. 생물학적 기준

제4장 정신질환의 사회문화적 기초
1. 이론적 강조점
2. 예방과 치료에 관한 견해
3. 우리가 (다시) 배워야 할 필요가 있는 몇 가지 교훈
4. 결론

제5장 죄와 정신병리학
1. 죄, 병, 범죄
2. 설명의 틀
3. 기독교적 설명의 틀이 심리학에 가져다주는 것
4. 기독교적 설명의 틀을 포함하는 방법
5. 결론


<font color=66CCCC><b>제2부 정신병리학: 심리적 문제의 분류 </b></font>

제6장 문제 소개
1. 상실, 모든 문제의 핵심
2. DSM-5 분류와 ‘문제’

제7장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제
1. 현대적 분류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기독교적 평가

제8장 불안의 문제
1. 현대적 분류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예방의 과제
5. 목회적 돌봄의 주제
6. 통합의 주제
7. 결론

제9장 기분의 문제
1. 현대적 분류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자살 및 자살 예방
5. 예방의 과제
6. 목회적 돌봄의 주제
7. 통합의 주제
8. 죄와 정신병리
9. 결론

제10장 외상의 문제
1. 현대적 분류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예방의 과제
5. 기독교적 평가

제11장 자기발달의 문제
1. 현대적 분류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예방의 과제
5. 기독교적 평가
6. 통합의 주제

제12장 성과 성별의 문제
1. 현대적 분류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최근 경향
5. 예방의 과제
6. 목회적 돌봄의 주제
7. 결론

제13장 정신병의 문제
1. 현대적 분류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예방의 과제
5. 목회적 돌봄의 주제
6. 통합의 주제
7. 죄와 정신병리
8. 추가적인 고려 사항
9. 결론

제14장 중독의 문제
1. 현대적 분류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예방의 주제
5. 기독교적 평가
6. 결론

제15장 고령자의 문제
1. 현대적 분류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예방의 과제
5. 기독교적 평가
6. 결론

제16장 사회병리학에서 파생되는 문제
1. 사례: 섭식장애
2. 병인 및 지속의 주제
3. 치료의 주제
4. 예방의 과제
5. 결론


<font color=66CCCC><b>제3부 현재는 어떠한가</b></font>

제17장 불완전한 체계에서의 책임 있는 치료
1. 정신병리학의 도전과 기회
2. 교회의 과제와 기회
3. 결론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림

X

알림

X

도서목록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