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font color=66CCFF><b>제1부 재통일과 심리학의 이해 </b></font>
제1장 새로운 재통일 패러다임의 필요성
1. 재통일 문제, 제대로 다루고 있는가
2. 초단편소설
3. 재통일 분야에 관한 심리학 성과 체계화
4. 반성과 전환
5. 여유로운 신국가론의 제안
6. 재통일 현상에 대한 이해
7. 재통일 현상에 대한 심리학적 해결 과제
8. 한민족 재통일의 심리학적 해결 과제
제2장 한민족 재통일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방식
1. 심리학적 접근을 위한 모형
2. 접근 방식의 차원
3. 이론화
제3장 한민족 재통일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방법
1. 한민족 재통일에 대한 심리 측정과 연구의 문제 극복 방안
2.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근본적 문제 해결
3. 한민족 재통일에 대한 심리검사 개발을 위한 방향
4. 정신질환 진단기준 마련
5. 북한주민에 대한 심리학적 개입 방안 마련
6. 남북한 양측 주민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와 개입 방안 마련
<font color=66CCFF><b>제2부 재통일 심리 이론화 </b></font>
제4장 재통일 전후 개인 심리의 중요성
1. 재통일이 가진 심리적 함의
제5장 재통일 전후의 개인 심리 이론화
1. 개인 심리 이론화
2. 자기정체성 재형성
3. 가치관과 도덕관 재형성
4. 성격 변화
5. 사회적 추론과 판단, 귀인 양식의 작용
6. 상대적 박탈감 경험
7. 목표 설정과 동기 변화
8. 개인 네트워크 변화와 대인관계 변화
9. 공산권 출신자의 신경증
10. 입장 변화에 따른 인지부조화 현상
11. 구조적 실업 경험
12. 과거 그리워하기 현상
13. 무관심 현상
제6장 재통일 전후의 집단 심리 이론화
1. 남북한 양측 출신자의 상호 인식과 행동
2. 재통일 시대의 집단갈등
3. 6·25전쟁 경험과 적대관계 교육의 영향
4. 희생양 찾기 현상과 이민족 공격 행동
5. 조직 내 심리적 문제
제7장 재통일 전후 전체 공동체 수준의 심리 이론화
1. 공동체 형성
2. 성장 불균형과 지역 편중화 현상
<font color=66CCFF><b>제3부 재통일 심리의 적용 </b></font>
제8장 현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 간 연구 결과의 재통일 진행과정에의 적용 가능성
1. 북한이탈주민과 북한주민
2. 재통일 진행 과정에의 적용 가능성
<font color=66CCFF><b>제4부 맺음말 </b></font>
제9장 결론 및 미래 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