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보육교사 인성론(2판)』은 보육교사의 질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이를 다시 말하면, 보육교사의 직무를 이해하고 영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돕기 위해 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과 자질에 관한 내용이다.이 책은 크게 4부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먼저, 제1부 ‘보육철학과 윤리’에서는 가르치고 돌보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제1장, 박초아). 그러고 나서 보육의 역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보육의 의미가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 알아보았다(제2장, 공인숙). 이 장을 통해 보육은 한 나라의 정치와 경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국가적인 문제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다룬 것은 보육교사의 윤리강령이 필요한 근거와 윤리강령의 현황 및 적용방법에 관한 내용이다(제3장, 이완정). 이 장에서는 5년 동안 일어난 보육교사의 윤리강령의 변화를 충실히 개정하여 담았다.제2부 ‘보육교사의 양성과 발달’에서는 보육교사의 자격과 양성, 취소와 유지에 대해 알아보고, 보육교사가 어떻게 경력을 확장하여 나갈 수 있는지 유관직종을 소개하였다(제4장, 김영주). 그리고 예비교사는 왜 보육교사를 선택하는지, 어떤 보육교사가 좋은 보육교사인지, 어떻게 하면 훌륭한 보육교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제5장, 권혜진). 다음으로 초임교사가 되었을 때(제6장, 최지현), 경력교사가 되었을 때(제7장, 이성옥) 어떤 변화와 발달을 겪는지도 살펴보았다.제3부 ‘보육교사의 직무’에서는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에서 어떤 일을 수행하는지 연간 직무와 월간 직무(제8장, 민선영), 일과 운영(제9장, 김진욱)의 원리와 구성을 통해 알아보았다.제4부 ‘보육교사의 인성’에서는 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도덕성과 영유아에게 함양시켜야 할 도덕성(제10장, 민하영), 보육교사의 자기이해와 성격유형(제11장, 김영주), 스트레스 관리(제12장, 권기남)에 대해서 다루었다.이 책은 이론적인 개념을 설명한 후에, 예비 보육교사인 학생들이 소집단 토의를 통해 개념을 적용해 보기도 하고, 관련 자료를 찾아보며 내용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읽어 보자’, ‘해 보자’ 활동을 통해 소집단 과제나 개별과제를 흥미롭게 진행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