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클래식판에 대한 소개: 개발의 약사
제1장 서론: 정서장애의 인지이론
Beck의 인지이론
인지이론에서 행동의 역할
공황의 인지 모델
임상 모델과 과학이론
주의 및 정서의 실험심리학
이 책의 계획
<font color=CC00CC><b>제1부 정서, 주의 그리고 정보처리</b></font>
제2장 주의: 기본 개념 및 이론적 쟁점
병목 현상 연구
주의 용량 모델
주의 통제 수준
연결주의 그리고 주의
마무리
제3장 주의: 복잡하고 개인적으로 중요한 정서 자극에 대한 개인의 선택
스키마에 의한 선택
자동성과 사회적 지식
주의와 정서적 정보
마무리
제4장 정서장애의 주의 편향
우울증
범불안장애
기타 불안장애의 주의 편향
불안과 우울이 기타 과제에 미치는 효과
정서 편향의 발생을 조절하는 요인
마무리
제5장 주의의 정서적 편향: 이론적 쟁점
정서적 편향의 네트워크 모델: Bower(1981, 1987) _ 150
편향에 대한 정보처리 모델: Williams 등(1988) _ 155
마무리 _ 173
제6장 정서장애: 주의 결함
우울증의 주의 결함
강박장애 상태
비임상 표본의 불안과 우울, 주의 효율성
이론적 쟁점
수행 결함과 인지 내용: 검사불안 연구
우울 기분
에너지 부족
마무리
<font color=CC00CC><b>제2부 정서장애의 인지 내용과 처리 과정</b></font>
제7장 주의 내용: 고통스러운 침투적 사고
정서장애에서 사고의 다양한 종류
불안 및 우울 장애의 사고 내용
걱정 차원 및 측정도구
사고의 관리: 어떤 전략이 비생산적인가
메타인지적 신념과 부정적으로 생각하기
침투성, 강박성, 사고 통제
걱정에 대한 이론적 설명에서 주의의 역할
마무리
제8장 스트레스에 대한 상호작용 접근법
스트레스의 교류 이론
스트레스 과정의 사회적 측면
스트레스, 각성과 수행
오류 및 인지 실패
마무리
제9장 자기초점 주의
자기초점의 정의 그리고 측정
자기초점의 원인
자기초점의 결과
자기초점과 정신병리
자기초점과 우울증
자기초점과 불안
중독 행동: 알코올 및 약물 사용
마무리
제10장 주의 조작: 매개는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가
분산 기법과 우울
분산 기법과 불안
정서 처리와 주의
주의 훈련
안구운동 둔감화
마무리
제11장 주의장애: 정서적 문제의 원인인가 결과인가
실험 연구
우울, 불안, 인지에 대한 종단 연구
우울증의 종단 연구: 결론
불안증의 종단 연구
특성 및 상태 효과의 비교 연구
회복된 환자에 대한 연구
마무리
<font color=CC00CC><b>제3부 새로운 이론적 모델과 임상적 함의</b></font>
제12장 이론적 통합
자기주의와 정서적 괴로움
인지-주의 증후군
정서적 괴로움의 통합적 주의 모델
SREF 처리가 주의와 자기지식에 미치는 영향
선택과 행동통제의 영향 요인
정서적 괴로움
치료에서 주의분산 효과: 새로운 관점 _ 353
주의 현상에 대한 설명
자동화
수행 자료에 대한 설명: 계획 편향의 결과
자원 제한의 결과
모델 요약
제13장 임상적 함의
행동 및 인지치료
기존의 치료 효과에 대한 SREF 모델의 설명
인지치료를 위한 새로운 시사점
이차‘정서’
치료용 자극에서 고려할 점
실시간 SREF 활동의 수정
절차 및 목표
마무리: 치료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
제14장 결론
이론적 쟁점 개관
더 많은 실험 연구
심리생물학적 과정의 역할
임상적 쟁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