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크게 3부로 되어 있다: 제1부 유아발달의 이해, 제2부 장애유아의 이해, 제3부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부인 제1장과 제2장은 전형적인 유아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장애유아의 발달을 이해할 수 있도록 유아발달의 저해 요인과 유아의 발달영역별 발달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제2부에 해당하는 제3장부터 제6장까지는 장애유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통합교육현장에서 자주 만나게 될 장애유형별 특성과 그 특성에 따른 특별한 지도방법을 설명하고, 장애유아의 가족(부모와 형제자매)을 이해하고 장애유아 통합교육과 관련 있는 전문인력(유아교사, 유아특수교사, 보조인력, 언어재활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제3부인 제7장부터 제13장까지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기본 개념에서부터 이론과 실제까지를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개념적 설명,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사회적·물리적 환경구성, 일반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 그리고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교수전략, 유아교육기관의 일과와 활동 속에서 장애유아를 교육하는 방법, 장애유아의 행동지원을 위한 연속적 지원체계와 기대행동 지도, 통 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대화방법을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