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교사를 위한 교육학개론
(강의용PPT)
저자 : 김성열, 강현석, 김석우, 김회수, 도승이, 박인우, 박주병, 성기선, 손은령, 신종호, 이길재, 이상무, 이희수, 정제영 | 역자 :
페이지 : 46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2481-7 93370
  • 2021-09-05
  • 4x6배판
  • 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

내용

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나 이미 교사가 된 사람은 학교교육을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더 좋은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예비교사나 현직교사가 학교교육에 대한 안목을 형성하고 교육 실천역량을 함양하는 것은 교육학의 다양한 지식체계를 학습하고, 이를 우리 교육에 적용하면서 비판적으로 분석할 때 가능합니다.이 책은 바로 이러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장차 교사가 되고자 사범대학과 교육대학 및 교육대학원에서 공부하는 사람,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사람들이 학습해야 할 교육학의 기본적 지식체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집필되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교육학 분야의 이론들을 요약하는 것을 지양하고, 우리 교육현상을 이해하며 교육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해결 방안을 고민하는 데 필요한 교육학의 핵심지식과 원리, 이론을 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독자들은 이 책의 내용을 학습함으로써 우리 교육을 보다 넓은 안목으로 바라볼 수 있고, 더 나은 교육을 실천할 역량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교육문제가 만병통치약과 같은 하나의 처방이나 정책으로는 결코 해결할 수 없는 매우 복잡한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목차

머리말


<font color=003333><b>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 </b></font>
1. 교육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2. 교육은 왜 필요할까
3. 과거, 현재, 미래, 교육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4. 시대 변화에 따라 교육 요소들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

<font color=003333><b>제2장 교육의 역사적 기초 </b></font>
1. 서양교육의 전개
2. 전통시기의 한국교육
3. 근현대 한국교육

<font color=003333><b>제3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 </b></font>
1.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2. 오늘날 교육철학의 흐름
3. 교육에 관한 철학하기
4. 교육철학을 더 공부하고 싶다면

<font color=003333><b>제4장 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b></font>
1. 교육심리학의 이해
2. 발달 관점에서의 학습자
3. 동기와 정서, 학습
4. 학습자 다양성

<font color=003333><b>제5장 교육의 사회학적 기초 </b></font>
1. 학교교육의 확대와 학력상승
2. 학력주의, 학벌사회, 교육열
3. 교육과 사회평등
4. 교육과정사회학

<font color=003333><b>제6장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b></font>
1. 교육과정의 이해
2. 지식과 경험
3. 교육과정 개발과 모형

<font color=003333><b>제7장 교수-학습이론 </b></font>
1. 교수-학습이론이란
2. 교수-학습이론의 분류

<font color=003333><b>제8장 교육평가 </b></font>
1. 교육평가의 기초
2. 교육평가의 유형
3. 검사도구의 양호도
4. 과정중심평가

<font color=003333><b>제9장 교육공학의 이해 </b></font>
1. 교육공학의 두 가지 시각과 정의
2. 교육공학: 수업설계
3. 교육공학: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font color=003333><b>제10장 생활지도와 상담 </b></font>
1. 생활지도의 이해
2. 상담의 이해
3. 상담의 이론과 기법

<font color=003333><b>제11장 교육행정 </b></font>
1. 교육행정의 개념과 성격
2. 교육행정의 법적 기초
3. 교육 거버넌스 체제
4. 좋은 학교 만들기와 학교장의 역할

<font color=003333><b>제12장 평생교육의 기초 </b></font>
1. 태초에 학습이 있었으니
2. 학습이 평생 널리 퍼지니
3. 평생학습의 개념적 특성과 양상을 집대성하니
4. 현재의 평생교육 법제도와 사업을 살펴보니

<font color=003333><b>제13장 교사론 </b></font>
1. 교육과 교사
2. 교직의 특성
3. 교사의 능력 계발
4. 사회 변화와 교사의 역할

<font color=003333><b>제14장 한국교육의 미래 </b></font>
1. 학교교육의 성과와 근대식 학교교육의 문제점
2. 교육환경의 변화 전망
3.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에듀테크의 발전
4. 미래교육의 방향과 과제


찾아보기

알림

X

알림

X

도서목록
환영합니다